마포구, 서울시 자원회수시설 협약 연장에 강력 반발

김혜연 기자

press@hobbyen.co.kr | 2025-05-26 08:44:24

[하비엔뉴스 = 김혜연 기자] 서울시가 마포구를 제외한 채 인근 4개 자치구(중구, 용산구, 종로구, 서대문구)와 마포자원회수시설(소각장) 이용기한을 ‘무기한’ 연장하는 협약을 체결하면서 마포구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6일 마포구에 따르면, 마포자원회수시설은 1997년과 2009년, 서울시와 마포구 등 5개 자치구가 공동이용 협약을 맺고 운영해온 서울시 관할 폐기물 소각시설이다. 기존 협약은 2025년 5월 31일 종료 예정이었으나, 서울시는 최근 협약 효력을 ‘시설 폐쇄 시까지’로 바꿔 무기한 연장하는 안을 마련해 마포구의 동의 없이 협약을 강행했다.

 

  마포자원회수시설 앞에서 쓰레기 소각장 신설 최종 결정 철회를 촉구하는 박강수 마포구청장 [사진=마포구]

 

마포구는 “쓰레기를 받아야 하는 당사자인 마포구를 배제한 채, 쓰레기를 배출하는 자치구들과만 연장 협약을 맺은 것은 매우 부당하다”며 “마포구민의 희생을 철저히 외면한 처사이자 협치의 원칙을 저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주민 생활과 직결된 사안은 당사자의 동의 없이는 정당화될 수 없다”며 협약의 무효화와 공식적인 재협의를 요구했다.

마포구는 그동안 소각장 운영에 따른 건강, 환경, 재산 피해를 감내해왔으며, 당인리화력발전소, 난지도 매립지, 석유비축기지 등 각종 환경기피시설이 밀집해 주민 부담이 크다고 주장했다. 

 

또 마포구는 소각장 추가 건립에 반대하는 3만8000여명의 주민 서명부를 서울시와 법원에 제출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협약 개정 과정에서 절차적 하자는 없었으며, 관련 규정에 따라 협의를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마포구는 “사실상 마포구 ‘패싱’”이라며 행정적·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마포구와 서울시는 신규 소각장 설치 문제를 두고도 이미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어,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