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하이브 의장 압수수색 목전, K-엔터 위상 흔드나
경찰, 방의장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압수수색 영장
K-팝 전체의 신뢰도·지배구조 투명성 도마, 우려 확산
이동훈 기자
rockrage@naver.com | 2025-07-22 10:40:04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K-팝을 대표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 하이브의 방시혁 의장이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압수수색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K-엔터 산업 전반에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글로벌 신뢰도 훼손, 투자 심리 위축, 연예산업 지배구조 전반에 대한 문제제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2일 수사당국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방시혁 의장과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등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지난 17일 신청했다.
방 의장은 하이브 상장 전인 2019년 벤처캐피털(VC) 등 기존 투자자들에게 기업공개, IPO 계획이 지연될 것처럼 속이고, 하이브 임원들이 출자해 설립한 사모펀드가 세운 특수목적 법인(SPC)에 지분을 팔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SPC는 하이브가 상장된 뒤 보유 주식을 매각했는데, 이 과정에서 방 의장이 천억 원대 매각 차익을 챙긴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현재 경찰은 수사의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이보다 앞서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도 지난 16일 정례 회의에서 방 의장을 자본시장법상 부정거래 행위 금지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통보 조치했다.
하이브 측은 “최대주주가 금감원 조사에 출석해 상장을 전제로 사익을 추구한 사실이 없음을 적극적으로 소명한 점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안타깝다”며 “금융당국의 결정을 존중하며 향후 수사에서 관련 의혹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명해 시장과 이해관계자 여러분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K-팝, 도덕성 시험대에 오르다
방 의장은 방탄소년단(BTS)를 글로벌 스타 반열에 올려놓은 인물로, 그가 창업한 하이브는 미국 이타카 홀딩스(저스틴 비버·아리아나 그란데 소속사)를 인수하고, 블록체인, AI 등 기술 융합에도 앞장서며 글로벌 엔터테크 플랫폼을 지향해왔다.
그러나 이번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하이브의 경영 투명성 뿐 아니라 K-엔터 전반의 ‘거버넌스 리스크’가 도마 위에 오를 수밖에 없다. BTS의 군백기 이후 하이브의 미래 비전에 의구심이 커지던 상황에서 최고경영자 리스크까지 겹치며, 팬덤·투자자·글로벌 파트너들의 신뢰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 투자자와 글로벌 파트너들, “K-콘텐츠 지배구조” 재검토 가능성
엔터 산업 특성상 경영자 개인의 브랜드 가치가 회사 전체 이미지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특히 하이브는 방 의장의 경영 비전과 리더십을 앞세워 다수의 IR과 글로벌 M&A를 추진해 왔던 터라, 이번 수사가 기업가치와 파트너십에 미칠 영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한 증권사 엔터 담당 애널리스트는 “하이브가 단순한 기획사를 넘어 ‘K-엔터를 대표하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기에, 이번 수사는 산업 전반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투자자들의 눈은 향후 경영진 교체 여부와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로 쏠릴 것”으로 내다봤다.
◆ 플랫폼 의존도 높이는 K-팝 산업, ‘대체 불가 리더 부재’ 현실되나
하이브는 위버스(Weverse)를 중심으로 아티스트와 팬을 직접 연결하는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자체 IP 확보와 AI 기반 창작 시스템 등 기술 기반 확장을 시도해 왔다. 이러한 ‘플랫폼 + 기술 + 팬덤’ 3박자 전략은 K-팝의 지속가능성을 상징한다.
이번 사태로 방시혁 의장의 리더십이 흔들릴 경우, 하이브의 플랫폼 전략 역시 재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이번 사건이 단순히 하이브 한 기업의 문제가 아닌, 상장 연예기획사 전반에 대한 경영 감시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우려를 낳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 특성상 창업자 및 총괄 프로듀서 중심의 권한 집중 구조가 일반화돼 있으며, 이로 인한 내부자 거래나 정보 비대칭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엔테테인먼트 업계 종사자는 “한국거래소 및 금융당국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연예기획사 상장심사 및 사후 관리 기준을 대폭 강화할 경우, 향후 IPO를 준비 중인 중소형 기획사들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