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 노조, “김지완 회장, 자녀 부당지원 의혹 진상 규명” 촉구

강민국 의원, “BNK금융·김지완 회장 ‘금감원 검사’ 받아야”

홍세기 기자

seki417@daum.net | 2022-10-13 14:46:40

[하비엔=홍세기 기자] 올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의 자녀 부당지원 의혹과 관련해 노조가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BNK부산은행 노조는 13일 ‘BNK금융그룹 계열사가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의 자녀가 다닌 회사를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의혹에 대해 성명을 냈다. 

노조 측은 “김 회장의 아들이 한양증권 대체투자 센터장으로 이직한 후, 한양증권의 BNK그룹 계열사 채권 인수금액이 늘어난 의혹을 규명해야 한다”며 “계열사간 부당거래 의혹이 사실로 판명될 경우 그룹 전체가 다시 사법 리스크로 휘청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국민의힘)은 최근 열린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김 회장의 아들이 근무 중인 회사에 계열사 발행 채권 몰아주기 정황이 있는 등 각종 편법 행위를 동원하고 있다”며 BNK금융과 김 회장에 대한 금감원 검사를 촉구했다.

강 의원은 이어 “한양증권은 김 회장 아들이 입사하기 직전인 2019년 BNK 계열사 발행 채권 인수단에 선정돼 채권을 인수했다”며 “특히 아들이 입사한 2020년부터 인수 물량이 급증했고, 2020년 이후 올해 8월까지 무려 1조1900억원의 BNK 계열사 채권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부산은행 노조는 또 “계열사인 BNK자산운용이 지난 2018년 4월 핀테크 사모펀드를 만들어 김 회장의 아들이 영업이사로 근무하던 A 업체에 80억원을 투자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A업체는 경북지역 부동산에 투자했지만, 사업수익에 차질을 빚으면서 해당 펀드에 연체가 발생했다. 이에 펀드 투자자 민원까지 제기되자 2020년 8월 말 대부업체 B사가 나타나 만기 연체된 펀드를 모두 상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BNK캐피탈이 특수목적법인(SPC)을 만들어 대부업체 B사에 50억원을 대출해준 것으로 드러나면서 내부 계열사간 부당거래 의혹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BNK금융그룹 측은 “한양증권이 인수한 채권의 수수료가 미미해 큰 성과를 낼 만큼 수익성이 나는 것이 아니어서 밀어주기나 특혜를 준 것이 아니다”라며 “채권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고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