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행사…해외 악재 선제 대응
SVB·CS사태 등 글로벌 위기에 맞서 국내 영향 차단
송현섭
21cshs@naver.com | 2023-03-29 15:15:26
[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국내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SVB(실리콘밸리은행)와 CS(크레딧스위스) 등 해외 악재와 관련해 선제 대응 차원에서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할 계획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신한금융지주에 이어 우리은행은 지난 2013년 4월 발행한 5000억원대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내달 중 행사하기로 했다. 또 오는 7월 4000억원, 11월 2000억원 등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만기에 맞춰 콜옵션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우리금융지주의 경우 올해 콜옵션 행사가 가능한 신종자본증권 물량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신한금융지주는 앞서 지난 2018년 4월 발행한 1350억원의 신종자본증권과 관련해 내달 콜옵션을 행사할 예정이라고 밝혔고, KB금융과 하나금융 역시 콜옵션 만기가 도래하는 신종자본증권 조기상환 차원의 콜옵션 행사를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은 최근 2000억원대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을 행사했고, 오는 10월 만기가 돌아오는 하나은행 1800억원, 11월 하나금융의 2960억원대 콜옵션도 예정대로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이례적으로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행사 방침을 사전 공개한 것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의 불안감 확산으로 국내에 미칠 악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통상 발행한 지 5년째에는 신종자본증권을 재매입한다”며 “콜옵션 행사 방침을 미리 발표하는 것은 CS의 신종자본증권 상각 뒤 도이치방크 CDS(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이 급등하는 등 글로벌 은행시스템 우려 확산을 방지하려는 조치다”라고 말했다.
흔히 코코본드로 불리는 신종자본증권은 일반적으로 만기가 없거나 30년 이상의 긴 하이브리드 채권이다.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산정 시 자본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주로 금융사의 자본확충 수단으로 활용된다.
신종자본증권은 또 이를 발행한 금융사가 부실화될 경우 투자자 동의 없이 상각 또는 보통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제로 스위스 금융당국은 CS를 매각하면서 170억달러의 조건부자본증권 전액 상각을 결정해 세계적으로 금융시스템의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한편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금융지주·은행들의 조건부자본증권 발행잔액은 31조400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국내 금융사에서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상각 요건이 금융당국에서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경우에 국한되고, 현재 금융지주와 은행들의 자본 여력과 자산 건전성이 양호한 만큼 큰 문제는 없다는 것이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