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다문화센터 ‘현대 다문화 사회와 종교의 역할’ 세미나 열려
-종교의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 다문화 사회 통합 해법 모색
-“다문화·다종교 사회에서 종교가 화해와 공존의 다리가 되어야"
이정우 기자
spooler_lee@naver.com | 2025-09-19 15:18:47
[HBN뉴스 = 이정우 기자] 2025년 9월 19일 오후2시 30분 국회 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현대 다문화 사회의 갈등과 종교의 역할’을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원다문화센터(원장 김대선), (사)한국경제사회연구소, 조국혁신당 서왕진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학계와 종교계, 시민사회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행사 개회 인사말에서 김대선 원다문화센터 원장은 “광복은 단순한 해방이 아니라 인간 존엄과 평화를 회복한 역사적 사건”이라며 “다문화·다종교 사회에서 종교가 화해와 공존의 다리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왕진 국회의원(조국혁신당)은 축사를 통해 “광복의 정신이 민족적 연대였다면, 오늘날에는 종교 간 연대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줄여야 한다”며 “국회 차원에서도 종교의 자유와 협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장영선 (사)한국경제사회연구소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종교가 본래 지닌 공공성과 사회적 책임을 다할 때 다문화 사회의 편견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다”며 학계·종교계·정책 당국의 협력을 당부했다.
종교계 대표로 나선 무원 스님(한국종교인연대 공동상임대표)은 불교의 화쟁(和諍) 사상을 언급하며 “종교는 결코 분열을 정당화하는 장치가 아니라 평화와 공존의 길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성철 한국생명운동연대 공동상임대표는 “종교와 사회복지가 협력할 때 다문화 사회의 진정한 통합이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윤창원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정지윤 명지대 교수는 “한국은 이미 다문화·다종교 사회에 진입했다”며 “종교의 공공성 회복과 종교 간 대화를 통한 사회통합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고세천 원불교 함평교당 교무는 원불교의 ‘일원주의’와 ‘감사생활’ 사상을 바탕으로 “종교는 다문화 사회의 갈등을 화합으로 전환하는 실천적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장의 경험도 공유됐다. 김현호 성공회 신부(파주이주노동자센터 샬롬의집 대표)는 파주지역 이주노동자들의 생활 실태를 소개하며 “이주민과 선주민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문화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성균 前 여성가족부 과장은 토론에서 “종교는 인간 집단 본능을 해체·재설계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며 다문화 교육과 종교적 포용성 강화를 제안했다.
참석자들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종교가 사회적 책임을 회복하고 다문화 사회의 갈등을 화해와 상생의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이번 세미나는 종교가 차이를 넘어선 연대와 협력의 주체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과제를 분명히 한 자리였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