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전세자금 마련 고민해결" 신청조건 및 방법까지
박준수
| 2019-09-25 17:05:43
원래 중소기업이라는 것이 많은 사람이 가고싶어 하는 대기업보다 연봉이 적다. 이에 본인이 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다면 나만의 집을 위해 저금을 한다. 다만 이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사람들이 명심해 둬야할 것이 나만의 집을 갖는 가능성이 높아질 내 집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이라는 것이다. 일을 하려고 아무도 없는 곳으로 올라온 청년이라면 월세 등이 꽤 크기 때문에 이 제도를 잘 알면 그 힘들다는 집을 구할 수 있다. 집을 마련 할 수 있는 이 청년 전세자금이라는 것은 1억 정도를 국가에서 1.2%금리인 대출을 해주는 청년을 위한 제도다. 또한 이것은 보증을 정부기관이 서줘 금리가 낮아서 제시하는 조건들에 들어맞아야 전세금 대출 가능하다. 또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이 널리 알려진 전세자금을 대출 받고자 하기엔 다양한 조건 때문에 어려운 경우가 있고 중소기업이라 아직 소득도 적어서 다른 대출의 적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가운데 청년전세자금대출 받으려면 필요한 서류와 자격, 금리, 한도, 이용기간 등은 어떻게 알아보는 걸까? 꼼꼼히 살펴보자.
내 집 마련의 꿈...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받고싶다면?
본인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다면 우선 나이가 만 34세 이하이며 연봉은 3,500만원 이하인 젊은이라면 대상에 포함된다. 이 모든 것들이 맞다면 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신청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그리고 군대를 다녀온 남자라면 만 39세 이하인 나이면 신청할 수 있다. 단, 맞벌이 부부는 총 소득이 5,000만원 이하일 경우 가능한데 홀로 살고 있어도, 맞벌이를 하고 있는 부부도 85㎡이하 임차 전용면적이면 된다. 그리고 이 제도는 개인 심사를 통해 받을 수 있는 대출 한정이 정해지고 대출은 임차보증금의 80%안에서 최대 1억원을 초과할 수 없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에 필요한 서류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의 혜택을 받고 싶다면 몇종류의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필수다. 필요한 서류를 먼저 준비해서 은행을 찾아가야 쉽게 일을 처리 할 수 있다. 먼저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이 본인 회사에 요청 할 수 있는 서류는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자등록증, 근로소득, 주업코드 확인자료, 재직증명서 등이 있다. 여기에 자신이 준비할 서류는 본인의 주민등록이나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등이다. 또한 있어야 할 서류로는 부동산에 요청할 것으로 등기부 등본 및 건축물대장, 임대차계약서 원본, 계약금 영수증이다. 또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은 본인이 다니는 회사가 중소기업일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이 많은 서류를 준비하기 전에 주택도시기금에서 본인이 출근하는 회사가 중소기업이 맞는지 알아봐야 한다.
서류가 다 됐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절차 알아보자
이러한 서류가 모두 준비 완료됐다면 보통의 대출 받을 수 있는지 대출이 가능하면 한도는 과연 얼마인지 체크해야 한다. 그 후 집을 구하는데 거주할 집을 정하게 됐으면 계약서에 써진 계약금 5%를 지불하고 계약서 내용은 임대인이 임차인의 전세자금대출에 함께한다는 것과 대출에 실패하게 되면 조건 없이 계약금을 반환한다는 항목을 꼭 써야 한다. 이후 임대차 계약서에확정일자을 정하고 이제 심사만 기다리면 된다. 그리고 이 대출 심사는 대부분 2주안에 끝난다. 또한 대출 가능 기간은 2년으로 연장은 최대 4회까지 가능해 최고 10년까지도 가능하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