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하, 전체 취약차주 중 36.5% 차지
[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로 30대 이하 저신용·저소득층이 지난해 4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30대 이하 취약차주는 46만명으로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를 차지했다.
![]() |
금융기관 3곳 이상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로 30대 이하 저신용·저소득층이 지난해 46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전경. [사진=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통상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로 신용등급 7∼10등급인 저신용 또는 하위 30%에 해당하는 저소득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하고 있다.
이들 30대 이하 취약차주는 고금리로 인해 대출 상환 능력이 더 취약해졌고, 지난 1년간 전체 취약차주가 6만명 늘어난 것에 비해 같은 기간 30대 이하는 무려 4만명이나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취약차주 가계대출 규모는 모두 93조900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92조8000억원에 비해 1조1000억원 늘었다. 특히 가계대출 연체율도 모든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는 추세를 보였고,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년 대비 평균 0.1%:P 올랐고,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 연체율이 크게 올라 지난해 말 1.1%로 전년 대비 0.2%P 상승했다. 대출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한 모든 액수를 합산한 금액에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수치로, 금융기관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지난해 말 전체 다중채무자의 연체 규모는 6조4000억원으로, 이는 지난 2021년 말 5조1000억원에 비해 1년새 1조3000억원 늘어났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고금리 추세 속에서 취약차주의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서라도 더불어민주당에서 제기한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해야 할 때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