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탄한 지역 기반에 금고 대출 대주단협약 맺고 리스크 관리
[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창립 60주년을 맞은 새마을금고가 철저한 리스크 관리로 60년 역사를 넘어 100년의 미래를 다져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하며 한 단계 도약에 나서고 있다.
28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새마을금고 당기순이익은 1조5575억원으로 안정적 성과를 거뒀고 총자산은 284조원으로 조만간 300조원 시대 개막을 눈앞에 두고 있다.
![]() |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새마을금고중앙회 회관 전경. [사진=새마을금고중앙회] |
무엇보다 새마을금고의 가장 큰 경쟁력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탄탄한 안정성과 어떤 위기에도 흔들림 없는 예금보호제도로 파악된다.
새마을금고는 일찌감치 1983년부터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예금자보호제도’를 선제적으로 도입했고 2022년 말 기준 예금자보호기금을 2조3858억원이나 보유하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는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조정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것이 새마을금고의 입장이다.
또 예적금 지급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운용하는 ‘상환준비금’을 지난해 말 기준 12조4409억원이나 적립해 언제든 고객에게 언제든 예적금을 지급할 수 있는 여력을 갖추고 있다. 새마을금고 전체 유동성 비율도 112.8%로 우수한 상시적 예금 지급능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에는 부동산경기 변화에 따른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대출 리스크관리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조만간 ‘새마을금고 대출 대주단협의체’을 발족시킬 예정이다. 이는 전국 1294개 새마을금고의 참여를 목표로 추진되는 만큼 대주단협의체를 통해 대출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은 물론 사전적 리스크관리도 가능할 전망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IMF 외환위기 때에도 공적자금 지원 없이도 위기를 극복할 만큼 든든한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라며 “행정안전부의 감독 아래 체계적인 리스크관리와 고객 예금보호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박차훈 새마을금고중앙회 회장은 “그동안 새마을금고 60년 역사를 함께 해준 회원들에게 감사하다”며 “지속적인 혁신과 철저한 리스크관리를 통해 앞으로 크게 도약하는 새마을금고 100년의 역사를 새로 만들어 나갈 것이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