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문기환 기자] 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SK텔레콤으로 구성된 ‘K-UAM 드림팀’은 오는 2025년 제주도에서 국내 최초로 UAM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동을 걸었다.
![]() |
▲ 한국공항공사 |
‘K-UAM 드림팀’과 제주특별자치도는 14일 제주도청 탐라홀에서 ‘제주형 UAM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각 사 대표들은 민간기업, 공기업, 지자체의 강점을 융합하는 초협력적 사업모델로 UAM 상용서비스의 국내 최초 성공사례를 만드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양 측은 지난 8월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발의되는 등 UAM 시범사업을 위한 제도적 논의가 시작된 만큼 안전한 운항환경과 충분한 관광수요를 가진 제주도에서 현재의 항공시스템 및 인프라 등을 수정·보완해 사업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화시스템은 UAM 기체개발과 제조·판매·운영·유지보수(MRO), 항행·관제 솔루션 개발을 담당하고, SK텔레콤은 미국 Joby Aviation간 협력 체계 기반 UAM 서비스 제공과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운영, UAM용 통신 시스템 등을 맡을 예정이다.
또 제주도는 UAM 운용부지·인프라 제공, 인허가·행정지원 등 사업추진을 위한 정책환경 및 제주 UAM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K-UAM 드림팀’은 정부 실증사업인 K-UAM Grand Challenge 1~2단계(2023~2024, 전남고흥 및 수도권)를 통해 안전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 제주도에 UAM 수직이착륙장인 버티포트 등 지상 인프라를 구축해 오는 2025년 제주도에서 UAM 운항을 상용화하고, 향후 미래 기술을 접목해 복잡한 도심에서의 UAM 운항을 안정적으로 추진·발전시킬 계획이다.
K-UAM Grand Challenge는 정부가 UAM 상용화에 앞서 도심 여건에 맞는 UAM 비행체 안전성 및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 통합 운용하는 실증 프로그램을 말한다.
현재 미국 LA와 플로리다, 프랑스 파리, 일본 오사카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이 2024~2025년 UAM 상용화를 계획 중인 가운데, 제주도 시범사업은 국내에서 가장 빠르게 전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형중 한국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제주도 시범사업은 한국공항공사의 노하우와 기술을 기반으로 한화시스템과 SK텔레콤이 보유한 미래 기술·자본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원을 융합하는 초협력적인 사업 모델이다”라며 “우리나라가 UAM 산업의 글로벌 선도 국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공항공사·한화시스템·SK텔레콤은 지난해부터 UAM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해 왔고, 지난 4월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을 포함해 ‘K-UAM 드림팀’을 발족한 바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