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최근 불거진 주가조작 사건에 대해 엄정 대응할 것을 시사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주현 위원장은 이날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주단 협약식 뒤 SG증권발 CDF 반대거래로 촉발된 시장 교란에 대한 방침을 밝혔다.
![]() |
27일 김주현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PF 대주단 협약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
김 위원장은 “관계기관이 협력해 신속히 사건을 처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이날 압수수색도 금융위를 포함해 거래소·금감원·서울남부지검 합동으로 34명이 진행했다”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총괄과는 이날 오전 SG증권 사태의 배후로 알려진 주가조작 세력인 H투자컨설팅업체의 서울 강남 사무실과 관계자 명의 업체,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김 위원장은 “(주가조작) 수법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보고 있지만, 현재 수사를 시작하는 단계라 확정적으로 말하기 힘들다”며 “수사 결과에 따라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되면 당연히 그렇게 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증권시장에서는 앞서 지난 24일부터 SG증권을 통해 선광과 하림지주를 포함한 8개 특정 종목에 매물이 쏟아지면서 연속 하한가를 기록하는 이상 거래가 발생했다. 이들 8개 종목은 지난해 4월부터 강세를 보이며 이달 초까지 급등했다가 이번 사태로 폭락장세를 연출했다.
금융당국은 일단 이번 사태의 배후에 주가조작 세력을 지목하고 매수자와 매도자가 서로 가격을 정해 놓고 주가를 끌어올리는 ‘통정거래’ 혐의를 포착해 긴급 대응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은행연합회는 이날 모든 금융협회와 금융위,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하는 ‘PF 대주단 협약식’을 열고 부동산 PF 사업장의 정상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채권 금융사들은 채권 재조정과 신규 자금지원 등을 결정하고, 부동산 사업자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 분양가 인하 등 ‘손실 부담’을 전제조건으로 못박았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