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프라이데이는 미국에서도 손 꼽히는 소비업계에서 경기가 제일 활발한 시기다. 성탄절 선물 쇼핑이 증가하는 때이며, 최근 한국에서도 상당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해외직구를 통한 구매로 싼 값으로 구입하고자 하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에 다가오는 2019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또한 국내 소비자들의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의 크기가 점점 확장되면서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를 더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란?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란 미국의 추수감사절 직후 시작하는 대규모 세일이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기간은 명칭의 이유는 높은 할인률의 행사로 소비자의 구매량이 늘어 매출을 적은 종이에 매출 기록이 흑색 잉크로 인해 빈틈없이 적힌다는 것에서 붙어졌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는 매해 11월 4째주 미국의 추수감사절 다음의 금요일이다. 이로 인해 2019년의 블랙프라이데이 날짜는 11월 29일이 된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당일 전부터 예약이나 할인행사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봐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준비물, 해외직구를 하려면?
블랙프라이데이를 활용해 물건을 구매하기 위해선 해외직구 준비물이 필요하다. 해외직구에 필요한 것은 먼저 해외결제가 가능한 카드다. 블랙프라이데이 전 해당하는 해외결제 기능이 사용이 되는지 먼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또한 개인통관고유번호를 발급해야 한다. 개인통관고유번호를 발급받는 방법은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나 휴대폰 번호를 통해 발급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한국까지 직배송을 하지 않거나 해외배송비가 지나친 경우 배송대행지를 거치는 것을 추천한다.
해외직구 유의점
이 때 주의해야할 점은, 제품의 무게와 관부세다. 여기서 말하는 여기서 관부가세란 상품에 매겨지는 관세와 부가세다. 관세는 국가가 국가 재정의 수입을 위해 수입품에 매겨지는 세금이라 할 수 있다. 부가세는 다른 조세에 부가하여 부과되는 조세로, 관세가 더 부여된다. 해외직구는 무조건 싸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관부가세·배송비가 더해져 기존의 국내 가격보다 값비싸게 구입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합산과세 역시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한국 수입 금지 품목도 알아둬야 한다. 만약 수입금지품목이라면 통과되지 못하고 버려지며 추가적인 수수료를 내야 하니 구입 전 금지 품목을 확인하고 구매해야 한다.
결제 후 사기피해 피하는 법, "신용카드사 차지백 서비스"
오랜 배송 과정에서 사기피해로 인한 두려움이나 연락이 되지 않거나, 배송이 되지 않거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신용카드사 차지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신용카드 차지백 서비스는 소비자가 불이익을 당했을 때 카드사에게 직접 해당 거래를 취소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소비자는 제품 판매자와 주고 받은 메일, 주문내역 등 객관적인 입증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혹은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이나 소비자 상담센터를 활용해 해외 직구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