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M&A, 공익적 차원에서 검토돼야"정치권과 노동계 한 목소리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 문제 아냐
유통망 붕괴와 대규모 고용 불안

한주연 기자

dlarkdmf15@naver.com | 2025-10-27 09:25:55

[HBN뉴스 = 한주연 기자] 홈플러스 매각 인수의향서(LOI) 접수 마감이 임박한 가운데, 정치권과 노동계가 나란히 “공익적 차원에서 홈플러스 인수가 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단순한 기업 구조조정 문제가 아니라, 농산물 유통망 붕괴와 대규모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사진=홈플러스

 

지난 24일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은 “홈플러스가 청산되면 소상공인과 협력업체 종사자를 포함해 30만 명이 길바닥에 나앉게 된다”며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인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같은 당 송옥주 의원도 “홈플러스는 가락시장 거래액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연간 1조8800억 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며, 약 5만여 농어가가 홈플러스에 납품하고 있다”며 “홈플러스의 공백은 농민의 판로뿐 아니라 도시 소비자의 식탁 물가에도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농협과 홈플러스의 연간 거래액만 4072억 원에 달한다”며 “농협유통이 매년 500억~600억 원의 적자를 내고 있다 하더라도, 홈플러스망을 활용할 경우 훨씬 큰 실익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히 경제 논리로 손을 놓는 것은 농협 본연의 공공적 역할을 회피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농협의 사정도 어렵다. 여러 측면에서 검토해보겠다”고 답했지만, 정치권의 ‘공공책임론’은 오히려 힘을 얻고 있다.

 

노동계 역시 농협의 역할론과 공적 책임에 힘을 보탰다. 민주노총 역시 지난 24일 성명을 내고 “홈플러스는 2만여 명의 직접고용 인력과 20만 명이 넘는 협력업체 종사자들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다”며 “정부와 농협이 공공적 책임의식을 갖고 고용 안정과 유통망 유지를 위한 인수·지원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홈플러스 기업회생으로 노동자들이 벼랑 끝에 내몰렸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정부와 농협의 개입”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과 노동계의 공조에는 현실적 위기감이 깔려 있다. 홈플러스는 국내 농축산물 연간 거래액 2조 원 이상을 차지하는 유통 허브로, 농협과의 거래 규모만 4천억 원을 넘는다. 청산될 경우 생산자·유통사·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게 되는 구조다.

 

전문가들 역시 농협의 산지 공급망과 홈플러스의 도심 판매망이 결합하면 유통비용을 30~40% 절감할 수 있어, 공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한 유통전문가는 “농협이 손대야 흑자, 외면하면 둘 다 적자라는 말이 현실이 될 수 있다”며 “지금은 재무논리보다 사회적 관점의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은 이달 말로, 사실상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은 내달 10일이지만, 그 전에 인수 주체가 확정돼야 정상적인 회생 절차가 가능하다. 정치권과 노동계가 한목소리로 “공익적 인수 검토”를 촉구하는 가운데, 농협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