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지난해 급여 12억9000만원, 상여 6억3500만원 등 모두 19억4100만원을 받아 카드업계 연봉 1위를 차지했다.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퇴직금을 제외한 지난해 7개 카드 전업사 CEO 가운데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이 가장 많은 연봉을 받았다. 이어 김대환 삼성카드 대표이사가 18억600만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가 9억9200만원으로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 |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사진=현대카드] |
김대환 삼성카드 대표는 지난해 급여 6억7700만원과 상여 10억1500만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급여 7억3000만원과 상여 2억5000만원을 각각 받았다.
현대카드는 지난해 카드업계 이사와 감사 1인당 평균 연봉도 가장 높은 6억9000만원에 달했다. 이어 삼성카드(6억2100만원), 신한카드(2억4400만원), 롯데카드(1억6200만원), 우리카드(1억4900만원), KB국민카드(1억4700만원), 하나카드(1억3400만원) 순으로 연봉이 많았다.
지난해 카드업계에서 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카드로 1억3900만원에 달했고, 신한카드와 국민카드는 1억2700만원, 현대카드는 1억2000만원, 하나카드 1억1300만원, 우리카드 9100만원, 롯데카드 8900만원 순이었다.
7개 카드 전업사 모두 남성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원을 넘었다. 업체별로는 삼성카드가 1억5900원으로 가장 높았고, 국민카드(1억4800만원), 현대카드(1억4500만원), 신한카드(1억3900만원), 하나카드(1억3300만원), 롯데카드(1억1200만원), 우리카드(1억10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 직원의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은 기업은 신한카드(1억1200만원)와 삼성카드(1억500만원) 단 2곳 뿐이었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실적이 양호해 각 카드사별로 적합한 수준의 급여를 지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 지난해 4분기부터 실적 상승세가 꺾여 올해 급여 인상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