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문기환 기자] 한국화재보험협회는 ‘2021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소재한 특수건물 5만387건에서 2431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화재발생률은 4.82%로 전년 5.13%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2022 특수건물 화재통계 안전점검 표지. |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는 131건으로, 15명이 사망하고 255명이 부상당했다. 이는 전년 사상자(284명, 사망 25명·부상 259명) 대비 4.9% 감소했다.
업종별 화재발생 건수는 아파트가 1112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장 771건, 11층 이상 건물 245건 순이었다. 특수건물 1000건당 화재발생 빈도는 아파트(104.9건), 공연장(78.4건), 학교(76.9건), 판매시설(59.4건), 다중이용시설(57.9건) 등으로 평균(48.3건)을 웃돌았다.
화재원인은 부주의(36.9%)가 가장 많았고, 전기적 요인(32.2%)과 기계적 요인(14.3%)이 뒤를 이었다. 특히 부주의 가운데 담배꽁초(29.3%)를 무심코 버리거나 음식물 조리(19.7%)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가 많았다.
재산피해는 1455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3억원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공장(66.8%), 판매시설(26.1%), 아파트(4.0%) 화재가 피해액 대부분을 차지했다. 화재 1건당 평균 재산피해액은 5958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특수건물의 방화시설 상태를 수치화한 양호율(안전점검 결과 100점 중 90점 이상에 속한 비율)은 평균 76.2%로, 전년(75.4%)보다 소폭 개선됐다.
화재보험협회 관계자는 “장기화된 코로나19 영향으로 여가생활의 제약이 일상화됐다. 2021년 화재통계에는 이러한 사회의 변화가 반영돼 주거 및 산업 현장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가 전체 인명피해의 88%를 차지해 예년보다 현저히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