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지난 2009년 5만원권 발행과 함께 카드·모바일 간편결제 등 지급·결제 수단이 다양해지면서 최근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이용이 급감하고 있다.
2일 한국은행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10만원권 자기앞수표 이용은 1일 평균 11만4000건으로 2021년 14만5000건에 비해 1년새 21.6%나 감소했다.
![]() |
지난 2009년 5만원권 발행이 시작되고 카드·모바일 간편결제 등 지급·결제 수단이 다양해지면서 최근 10만원권 자기앞수표의 이용이 급감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10만원권 수표의 1일 평균 이용액 역시 1년 전 140억원에서 지난해 110억원으로 급감했다. 특히 10만원권 포함 정액 자기앞수표 1일 평균 이용건수와 금액은 2021년 22만3000건에 92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8만6000건(16.7%)에 830억원(9.9%)으로 줄었다.
다만, 비정액권 합산 자기앞수표 1일 평균 이용건수는 2021년 25만9000건에서 1년새 22만4000건으로 13.5% 감소했지만, 이용액은 1조2060억원에서 1조2440억원으로 3.1% 증가했다.
이는 자기앞수표 이용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반면 비정액권의 경우 상거래 관습상 기업의 고액거래에 여전히 이용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10만원권 자기앞수표는 지난 2009년 6월 5만원권 등장 이후 빠르게 줄고 있는데, 배서에 따른 불편과 자금추적·부도 위험 등이 사용을 꺼리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이를 방증하듯 10만원권 자기앞수표 1일 평균 이용건수는 지난 2008년 374만2000건에서 5만원권 발행이 시작된 2009년에는 307만3000건으로 17.8% 감소했다. 이후 2017년 43만1000건, 2018년 31만3000건, 2019년 22만5000건, 2020년 17만건, 2021년 14만5000건 등으로 꾸준히 줄었다.
결국 지난해에는 1일 평균 이용건수가 11만4000건까지 줄어 14년 만에 97%나 이용이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1일 평균 이용액 역시 지난 2010년 2480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10억원으로 12년새 95% 넘게 감소세를 보였다. 이같은 감소 추세는 최근 디지털 기반 지급·결제수단이 갈수록 활성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자기앞수표 사용이 현저히 줄어 향후 수표 발행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지난해 신용·체크·선불카드 등 지급카드 1일 평균 이용건수는 73만4530건에 달해 1년 전인 2021년보다 9.8% 늘었고, 이용액도 3조2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