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가 105만1000명 늘어나 가계부채 부실화가 우려된다.
12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5대 시중·인터넷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는 615만1000명으로, 지난 2018년 510만명보다 105만1000명 늘었다.
![]() |
지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은행의 가계 신용대출자가 105만1000명 늘어나 가계부채 부실화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서울시내 전경 [사진=연합뉴스] |
특히 은행들의 가계 신용대출이 고신용자를 위주로 운영돼 중·저신용 취약계층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 적극적인 사회공헌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윤 의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사이 모든 연령층에서 가계 신용대출이 늘어났지만, 이 가운데 특히 20대와 40대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우선 20대의 경우 2018년 말 34만3000명에서 지난해 말 59만2000명으로 24만9000명 늘었고, 같은 기간 40대는 158만9000명에서 189만4000명으로 30만5000명이나 급증했다.
이 기간 30대는 16만8000명 늘었고, 50대 19만1000명, 60대 이상 13만7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로는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은행이 129만6000명으로 가계 신용대출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카카오뱅크 93만7000명, NH농협은행 80만3000명, 신한은행 79만6000명, 하나은행 78만5000명, 우리은행 67만3000명, 케이뱅크 48만3000명, 토스뱅크 27만8000명 등순이었다.
지난해 말 은행들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145조6467억원으로, 2018년 말 110조6087억원보다 35조380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40대의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52조8064억원으로, 2018년 말 39조1481억원에 비해 13조6583억원 늘어 다른 연령대보다 증가폭이 컸다.
또 50대는 9조9832억원, 30대 6조8340억원, 60대 2조8557억원, 20대 1조7069억원 등의 순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말 은행별 가계 신용대출 잔액은 KB국민은행이 32조921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26조6049억원, 우리은행 19조8425억원, NH농협은행 19조3180억원, 하나은행 18조7634억원, 카카오뱅크 12조7627억원, 케이뱅크 8조2718억원, 토스뱅크 7조1624억원 등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말 가계 신용대출자 615만100명 가운데 448만1000명이 신용평점 850점 이상 고신용자였다. 특히 전체 가계 신용대출 잔액 145조6467억원 가운데 117조1535억원이 이들 고신용자에게 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의원은 “최근 시중은행들의 달라진 영업 관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하지만 고소득자와 자산가를 포함한 고신용자 위주의 영업에서 탈피해 중·저신용자에 대해 문턱을 낮추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