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이길주 기자] 드론과 이미지 분석 AI를 활용한 통신탑 안전 점검이 가능해짐에 따라 통신탑 노후화로 인한 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은 드론과 이미지 분석 AI를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 이를 현장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 |
▲ SK텔레콤과 SK오앤에스 직원이 드론을 통해 통신탑을 점검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
SKT는 통신탑의 볼트 너트 풀림에 대한 안전도 점검을 위해 사내 전문가 그룹을 통해 이미지 분석 AI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드론 촬영에 활용해 현장 검증을 완료했다.
통신을 위한 송수신용 안테나를 설치한 통신탑은 전국에 설치돼 있고, 높이는 최대 75m에 달한다. 특히 볼트와 너트 풀림이나 부식 등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정비가 필요해 그동안 전문 인력이 직접 올라가 상태를 확인하는 육안 점검을 시행해 왔다.
SKT는 이번 안전 점검 지능화를 통해 통신탑 노후화로 인한 사고 예방뿐 아니라, 드론 활용 점검으로 점검자가 통신탑에 직접 오르는 요인을 최소화해 안전을 확보했다.
또 드론 촬영 결과 이미지 분석에 불량 판독을 위한 AI 모델을 적용해 기존 육안 점검 방식 대비 업무 생산성을 제고했다. 이를 통해,SKT는 판독에 소요되는 시간을 95% 단축하고 판독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높였다.
SKT는 향후 풍압 안전도 기울어짐 등 점검 항목을 추가하고 AI를 고도화 및 안전관리시스템과 연동하는 등 지속적으로 통신탑 안전 점검 지능화 시스템을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박명순 SKT 인프라DT담당은 “이번 통신탑 안전점검에 드론·AI를 활용해 육안 점검 방식을 효과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점검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라며 “AI 통신망으로 진화를 위한 업무 전반의 혁신 과제를 추진하며 AI가 지속 발전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위해 현장 구성원을 AI 개발이 가능한 전문가로 꾸준히 육성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