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국내 6개 대형 시중은행의 장애인 고용이 부진한 가운데, 지난해 납부한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206억90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한은행·우리은행·KB국민은행·NH농협은행·IBK기업은행·하나은행 6곳 가운데 장애인 의무 고용률을 달성한 곳은 하나도 없었다.
![]() |
IBK기업은행 본사 전경. [사진=IBK기업은행] |
이들 6개 은행이 지난해 장애인 고용기준 미달로 납부한 장애인 고용부담금만 총 206억9000만원에 달했다.
은행별로는 신한은행이 4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B국민은행(44억8000만원), 우리은행(43억5000만원), 하나은행(39억6000만원), NH농협은행(30억9000만원), IBK기업은행(3억1000만원) 순이었다.
이는 은행권이 취약계층 지원을 비롯한 사회공헌활동을 강조해오고 있지만, 정작 장애인 고용에는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해 이들 6개 은행에서 근무 중인 장애인 직원은 총 1292명으로 집계됐다. IBK기업은행이 가장 많은 436명을 고용했고, 이어 NH농협은행 284명, KB국민은행 227명, 우리은행 131명, 신한은행 118명, 하나은행 97명 순이었다.
지난해 기준 장애인 의무 고용률은 국가와 지자체·공공기관의 경우 전체 인력의 3.6%이고 민간기업은 3.1%다. 공공기관인 IBK기업은행에 적용되는 의무 고용률은 3.6%로, 민간기업인 다른 시중은행의 경우 3.1%를 맞춰야 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시중은행을 비롯한 금융사들에 대해 사회공헌활동의 연장 선상에서 장애인 등 취약계층 고용 확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장애인 고용률은 ▲IBK기업은행 3.42% ▲NH농협은행 1.74% ▲KB국민은행 1.39% ▲우리은행 1% ▲신한은행 0.91% ▲하나은행 0.87%로, 저조하다. 그나마 공공기관인 IBK기업은행의 고용률이 기준치에 근접했지만, 이 역시 0.18% 모자랐다. 나머지 5개 민간 시중은행은 대략 1% 수준에 그쳤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금융업과 은행에는 장애인이 재택근무로 수월하게 해낼 수 있는 다양한 업무가 있다”며 “은행들이 모집공고를 내고 지원서를 기다리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장애인 교육기관을 찾아다니며 인재를 발굴하는 노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