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송현섭 기자] 한국은행은 11일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정례회의를 열어 현행 3.5% 수준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이는 지난 2월에 이은 두 번째 기준금리 동결로, 최근 인플레율이 4%대 초반으로 떨어진 만큼 물가관리보다는 금융시장 안정과 침체된 경기상황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 |
한국은행 전경. [사진=한국은행] |
지난해 하반기 금통위원들이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상한을 3.5%로 예상한 대로 굳어지면 2021년 8월 이후 1년6개월간 계속된 금리인상 기조는 사실상 마무리되는 셈이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특히 올해 하반기쯤 경기진작을 위한 금리 인하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4%대 초반까지 안정화되는 물가상승률 추이를 긍정적으로 보고, 올해 연말에는 3%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실제 물가흐름이 한은의 예상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았는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수출 부진과 부동산 PF를 중심으로 하는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실질 GDP(국내총생산) 기준 성장률은 수출 부진의 여파로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 0.4%로 반전됐고, 반도체경기 부진으로 올해 1분기 반등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올해 들어 2월까지 경상수지는 11년 만에 2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 중이고, 통관기준 무역수지 역시 3월 46억2000만달러 적자를 내며 13개월 연속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미국의 기준금리는 4.75∼5%로 한미간 금리격차는 1.50%P까지 벌어졌다. 이는 지난 2000년 10월 이후 22년여 만에 가장 큰 격차라는 점에서 우려된다.
미국 FRB에서 오는 5월 0.25%P 수준의 베이비스텝만 밟아도 한미간 금리격차는 역대 최대인 1.75%P에 달해 외국인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의 상승 압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