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CJ대한통운은 사우디 민간항공청과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쇼핑몰 아이허브의 중동지역 국제배송을 전담할 GDC 구축을 시작한다고 11일 밝혔다.
GDC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이 상품을 소비자가 거주하는 인접국가 물류센터에 보관한 뒤 주문이 들어오면 신속하게 배송하는 시스템으로 초국경 전자상거래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 |
사업협약 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GDC사업 시작을 알리는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사진=CJ대한통운] |
각 대륙 거점에 GDC를 구축하면 2~3주 이상 걸리던 배송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초국경택배로 불리는 CBE 물류는 전세계 시장 규모만 100조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는 블루오션으로 손꼽힌다.
오는 2024년 하반기 준공이 목표인 사우디 GDC는 사우디 정부가 글로벌 물류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킹칼리드 국제공항에 조성한 리야드 통합물류특구에 들어설 계획이다. 총 600억원을 투자해 일 처리물량 1만5000 상자 규모로 구축할 예정이며 CJ대한통운의 물류기술 및 인천 GDC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중동권역 전진기지 및 허브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CJ대한통운은 사우디 GDC 구축에 앞서 아이허브와 8년간의 장기계약을 체결하고 중동지역 물류서비스를 전담하기로 했다. 사우디 GDC에는 CJ대한통운 물류역량을 바탕으로 최첨단 혁신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사우디 GDC는 현지 내수시장으로도 상품 반입이 가능해 경제성과 소비자 편의 측면에서도 큰 경쟁력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우디 소비자들은 자국 내에 위치한 GDC에서 상품을 바로 받아볼 수 있고 기존 해외직구의 가장 큰 단점인 교환 반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강신호 CJ대한통운 대표는 “사우디 전자상거래 시장은 중동에서도 가장 풍부한 성장 잠재력과 함께 아프리카 유럽을 연결하는 지리적 이점까지 보유하고 있다”라며 “사우디 GDC가 중동 이커머스 시장을 이끄는 물류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첨단 물류기술과 인프라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