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송현섭 기자] 금융감독원이 비대면 거래 활성화에 따른 전자금융사고 예방 차원에서 ‘이상 금융거래 탐지시스템(FDS) 운영 가이드라인’ 수립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금융감독원과 금융보안원은 21일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IBK기업은행·카카오뱅크 등과 함께 FDS 개선논의를 위한 첫 회의를 개최했다.
![]() |
▲FDS(이상 금융거래 탐지시스템) 운영 예시 [자료=금융감독원] |
회의 참석자들은 최근 비대면 금융거래 확대를 비롯해 금융환경이 급변하면서 은행권 중심으로 운영해온 FDS 고도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따라서 금감원과 금융보안원은 금융사들과 함께 실무작업반을 구성해 FDS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계획이다.
실무작업반에서는 인터넷·모바일 보안 위협에 맞서 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한다. 주요 사업은 ▲신규 시나리오 개발 ▲강화된 이상 금융거래정보 공유체계 구축 ▲FDS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세부기준 마련 등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운영되는 실무작업반은 시나리오별로 FDS 운영의 효율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금감원은 또 현재 97개사 수준인 이상 금융거래정보 공유협의체 참여기관을 확대한다.
기존 정보 공유기관의 특정한 보안 위협이 다른 금융사로 퍼지지 않도록 신속한 공유체계도 확립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앞으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면 비대면 금융거래에 대한 보안 위협 대응력이 향상될 것”이라며 “비대면 거래 활성화에 발맞춰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을 꾸준하게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