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지난해 하반기에만 680만건이 넘는 스팸 문자가 발송된 가운데, 이 가운데 220만건(32.9%) 이상이 KT를 통해 발송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불법 스팸 문자 220만건(32.9%) 이상이 KT를 통해 발송됐다. 이는 지난 상반기 대비 약 130만건(171만건→40만건)이나 감소한 LG유플러스와 비교해 확연한 차이다.
![]() |
2022년 대량문자서비스 이용 스팸 문자 현황. [자료=방통위]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대량문자서비스를 통한 스팸 문자가 계속 증가하면서 소비자 피해도 커지고 있다”며 “불법 스팸 처벌 수위를 대폭 강화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과 불법 스팸 전송자 단속 및 계약해지, 추후 대량문자서비스 이용금지 등 효과적인 근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달 31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을 살펴보면, 같은 해 상반기 대비 LG유플러스는 큰 폭의 감소치를 보인 반면 KT는 여전히 스팸 문자 발송량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KT는 총 225만6581건(32.9%)을 기록했는데, 이는 40만건의 LG유플러스와 비교해 5배가 넘는 수치다”라며 “소비자들이 겪고 있는 피해를 외면한 채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한다면 KT를 믿고 상품 서비스를 구매하던 소비자들의 신뢰도 급격히 추락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하반기 국내발송 스팸 문자는 685만9133건으로, 국내외에서 대량문자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총 765만3612건 대비 85%를 해당된다. 이는 상반기 680만4923건보다 5만4210건이나 증가한 수치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대량문자발송을 통한 스팸량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올해 대량문자발송서비스를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라며 “앞으로도 불법 스팸으로부터 국민의 삶을 지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