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삼성이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향후 10년간 60조1000억원 투자와 함께 지역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입체적 지원에 나선다.
삼성은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균형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계열사 사업장을 중심으로 10년간 총 60조1000억원 투자한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스마트폰, 전기부품, 소재 등 지역별로 특화 사업을 지정해 투자를 집행, 각 지역이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 |
삼성이 향후 10년간 비수도권 지역에 60조1000억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사진=연합뉴스] |
우선 충청권의 경우 반도체 패키지 특화단지(천안·온양)와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구축(아산), 차세대 배터리 마더 팩토리(천안) 등이 구축된다. 이 가운데 천안에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용량이 크고 더욱 안전한 전고체 배터리 마더 팩토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경상권에는 차세대 MLCC 생산 거점(부산)과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구미), 첨단소재 특화 생산거점(구미),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연구(울산) 등이 조성된다.
또 호남권은 스마트 가전제품 중심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삼성의 미래 가전사업에서 더욱 큰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광주사업장에서 생산 중인 가전제품을 프리미엄 스마트 제품 중심으로 확대 재편해 글로벌 스마트 가전 생산거점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삼성은 특히 지역 기업을 위해 반도체와 생태계 육성 프로그램, 지역 인재 양성 지원 등을 입체적으로 전개하고, 추가 상생 프로그램에는 향후 10년간 총 3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아울러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AI·디지털 대전환·ESG까지 고려해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고도화하고, 2~3차 협력회사와 취약 산업 소멸 지역의 기업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지역 중소기업 내실화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방침이다.
삼성은 현재 서울과 대구에서 운영 중인 C랩 외에 광주에도 신규 거점을 구축하고, 지역 스타트업 기업들과의 사업 협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국내 주요 대학들과 운영 중인 반도체 계약학과를 지방 소재 대학에도 신규로 개설해 지역 반도체 인재를 육성하고 미래 지방 산업단지 조성 여건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외 지방의 우수 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지방 청년층을 대상으로 삼성청년 SW아카데미 교육 기회를 확대해 더 많은 이들에게 성장 기회를 제공한다는 복안이다.
삼성 관계자는 “기술개발 지원과 경영 혁신 컨설팅 등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 운영하고, 지역 청년을 위한 청년활동가 지원과 보호종료 청소년 자립 지원 사업도 지속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