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방한 중인 베트남 팜 민 찐 총리와의 면담을 통해 투자 및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2일 재계와 베트남 관보 VGP 등에 따르면, 이날 찐 총리는 서울 롯데호텔에서 이 회장을 만나 다양한 분야에 대한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찐 베트남 총리. [사진=연합뉴스·베트남 관보 VGP 캡처] |
이재용 회장은 “베트남의 성공은 삼성의 성공이고, 베트남의 발전은 삼성의 발전이다”라며 코로나19 기간 동안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 베트남 정부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베트남 최대의 외국인 투자자이자 최대 수출기업으로 항상 베트남과 동행하겠다”며 “삼성베트남을 글로벌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모듈 생산기지로 만들기 위해 향후 3년간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이 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충남 아산에 8.6세대 IT OLED 라인을 구축한 데 이어 여기서 생산되는 노트북 패널의 후공정 라인을 베트남에 짓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2026년까지 4조1000억원을 투자해 연간 1000만개의 노트북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찐 총리는 “삼성이 베트남의 경제·사회 발전을 비롯한 수출 및 첨단기술 응용 제품 개발에 적극 기여했다”며 “베트남은 투자 환경의 안정성·경쟁력 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고, 이를 통해 첨단 기술과 반도체 칩,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 센터 등의 투자를 유치 또는 장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찐 총리는 특히 베트남을 주요 글로벌 제품의 전략적 생산과 연구개발 기지로 지속 운영할 것을 삼성에 요청했다. 또 베트남 기업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하노이 R&D센터의 활동을 강화할 것 등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삼성은 지난 1989년 하노이에 삼성물산 무역사무소 설치를 통해 베트남에 첫 진출했고, 현재 호찌민, 박닌, 타이응우옌 등지에서 스마트폰, 네트워크 장비, TV,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의 대(對)베트남 누적 투자금은 약 224억달러에 달하고, 현지 근로자 약 9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지난해 삼성베트남의 수출액은 약 557억달러에 이른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