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을 정신없이 보내는 요즘 사람들은 어렵게 벌어 놓은 돈을 어디에 썼는지 깜빡 잊고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사람들이 깜박하고 찾아가지 않은 휴면금융재산은 자그마치 1조 4000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에 따라 휴면계좌의 돈을 찾아주는 ‘휴면계좌통합조회’에게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휴면계좌통합조회 서비스는 곳곳에 잠들어 있는 휴면예금과 보험금 한 번에 조회하고 꽁꽁 숨어 있는 엄연한 내 돈을 되찾아줄 수 있게 도와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를 통해 금융소비자들은 자신의 재산권을 지키고 필요하지 않은 금융계좌까지 한번에 정리할 수 있다. 이에 휴면계좌 통합조회에 대해 확실하게 살펴보자.
잠자고 있는 돈 확인해줄 '휴면계좌 통합조회 서비스'
휴면계좌는 금융회사에서 만들어진 계좌 중 일정 기간 동안 거래가 발행하지 않는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을 의미한다. 휴면계좌통합조회는 은행연합회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금융회사를 찾아다니지 않아도 휴면예금과 보험금을 한 번에 조회 가능하다.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의 명의만 확인되면 본인의 휴면계좌를 바로 알아볼 수 있다.
휴면계좌통합조회 서비스의 이용 및 환급방법 '생각보다 간편해!'
휴면계좌 통합조회 서비스의 이용방법은 간단하다. 전국은행연합회 휴면계좌통합조회 홈페이지에 들어가 휴면계좌를 알아보기 위한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한 다음 공인인증서로 인증만 하면 휴면계좌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잊혀진 나의 휴면예금과 휴면보험금을 발견했다면 내 돈 찾는 방법을 알아보자. 미출연 휴면계좌가 있다면 직접 해당 금융기관에 찾아가서 예금 지급 요청하면 바로 환급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미소금융중앙재단에 출연한 휴면예금 및 휴면보험금은 해당 금융기관에 찾아가면 예금 지급 요청 시 재단에서 환급해준다. 단, 이때 통합조회 시스템에서 명기하고 있는 예금액과 실수령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휴면계좌 통합조회 시 주의사항, '찾아가지 않으면 국가에 귀속'
시스템을 이용해 알아낸 휴면계좌를 반환받지 않을 경우 숨어있는 돈은 어떻게 될까. 만약 휴면예금을 도로 찾아가지 않는다면 국가에 귀속된다. 시스템을 이용해 알아낸 휴면계좌 잔액 반환 청구는 법적으로 볼 때 2년 안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년이 경과되면 남은 잔액이 미소금융재단으로 넘어가 우리나라 저소득층을 위한 복지 사업에 이용된다. 만약, 2년이 경과했다 하더라도 직접 보험사나 은행을 방문해 예금을 반환할 것을 요청하면 5년 안으로는 휴면계좌 잔액을 돌려받을 수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