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통 중소기업은 원래 월급과 연봉이 대기업 보다 적다. 이에따라 자기 회사가 중소기업이면 모든 사람들의 꿈인 내 집 장만을 위해서 차곡차곡 통장에 금액을 쌓는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는 젊은이들이 명심해 둬야할 것이 나만의 집을 갖는 가능성이 높아질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이다. 집을 마련 할 수 있는 청년 전세자금이란 최대 1억을 정부에서 금리 1.2% 전세금을 빌려주는 청년을 위한 제도다. 그리고 이 제도는 정부가 보증을 해줘서 1.2%라는 금리를 자랑하는 만큼 자격이 되야 자금 빌릴 수 있다. 또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이 보통 전세자금을 대출받으려면 다양한 조건 때문에 어려운 경우가 있고 사회초년생이니 만큼 소득도 적어 다른 대출의 가능성이 낮은 것이다. 이 가운데 앞서 언급한 청년전세자금대출을 신청을 위해서 대출이 가능한 자격과 필요한 서류들, 금리, 한도, 이용기간 등은 어떤 종류들이 존재하는 걸까? 꼼꼼히 살펴보자.
내 집 마련의 꿈...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받고싶다면?
이런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의 조건은 먼저 나이는 만 34세 이하여야 하고 연봉은 3,500만원 이하인 젊은이라면 대상에 포함된다. 이 조건에 충족한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신청이 가능 하다. 그리고 군대를 다녀온 남자라면 만 39세 이하인 나이면 신청할 수 있다. 단, 맞벌이 부부는 총 소득이 5,000만원 이하일 경우 가능한데 자기 혼자 거주하고 있어도, 부부도 임차 전용면적85㎡이하인 것이 필수다. 이러한 청년 전세자금은 심사로 가능한 대출한도가 책정되는데 대출은 임차보증금의 80%안에서 최대 1억을 넘지 못한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지원 시 필요한 서류는?
이런 중소기업 청년 전세 자금 대출을 승인받으려면 중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먼저 서류를 준비해서 은행으로 가면 이런 절차들이 쉽게 해결된다. 먼저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이 회사에 요청할 수 있는 서류는 사업자등록증, 원천징수영수증, 근로소득, 재직증명서와 주업코드 확인자료다. 또한 직접준비할 서류는 본인의 주민등록이나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등이다. 또한 있어야 할 서류로는 부동산에 요청할 것으로 등기부 등본 및 건축물대장, 임대차계약서 원본, 계약금 영수증이다. 명심해야 할 것은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은 중소기업일 경우에만 가능하니 이런 많은 종류의 서류를 준비하기 전 컴퓨터의 주택도시기금에 들어가 자신의 회사가 중소기업이 맞는지 알아봐야 한다.
서류가 다 됐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절차 알아보자
서류준비가 완료됐다면 은행 대출은 가능한지 한도는 얼마인지 확인을 한다. 그 후 집을 구하는데 집이 마음에 들면 계약서의 5%를 계약금으로 지불하고 계약서에 써진 계약 내용은 임대인이 임차인의 전세자금대출에 협조한다는 내용과 대출에 실패하게 되면 계약금 반환을 조건없이 하겠다는 내용을 꼭 써야 한다. 이후 임대차 계약서에도장과 확정일자를 정하고 그 후 은행의 심사만 기다리면 된다. 대출 심사는 2주면 된다. 또 대출 기간은 2년이고 최대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하니 최고 10년까지도 가능하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