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는 호르몬에 문제 발생이 원인이다. 호르몬인 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역할이다. 해마다 당뇨 환자가 늘고 있는데 한국인의 특성상 췌장이 작은데다가 인슐린 조절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만이 아니어도 방심하면 안된다. 당뇨를 방치하면 합병증이 오게 되니까 꼭 예방해야 한다. 당뇨에 걸리면 생기는 증상과 당뇨 식단은 어떻게 짜는지 소개한다.
딩뇨 증상은 시력 저하로 이어져
소변의 양이 갑자기 많아지고 화장실 가는 횟수가 늘면 당뇨를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많은 양의 당분이 혈액에 섞여서 흐를 때 사람의 몸은 당분을 없애려고 한다. 따라서 당과 물이 섞여 소변을 많이 보게 된다. 더불어 소변을 자주 볼 경우 우리 몸의 수분량이 줄어든다. 수분을 보충하려고 탄산음료나 주스를 마실 경우 병을 더 키우게 된다. 또한 소변으로 에너지가 빠지면서 식사를 많이 해도 체중이 줄어든다. 당뇨가 생기면 근시가 오는데, 당 수치가 많아지면 수정체 안에 액체가 생기면서 시야가 흐려진다. 당뇨가 심해지면 심혈관계 질환과 신경병증을 비롯한 합병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당뇨에 좋은 '부아메라'는?
부아메라는 요즘 당뇨 치료로 화제가 되고 있다. 부아메라는 인도네시아에서 왔으며 다니족 장수의 비결로도 알려졌다. 항산화 성분이 있고 베타카로틴도 많아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 우엉은 혈당수치를 낮추고 당을 비롯한 성분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미역, 다시마, 김 등은 '알긴산'인 다당류가 많다. 이는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막아준다. 또 당뇨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당이 낮은 과일을 먹도록 하자. 당 수치가 낮은 과일은 사과랑 딸기, 복숭아 등이 있다. 반면 염분도가 높은 나물무침은 비타민C를 흡수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첨가물이 함유된 가공식품은 고칼로리면서 소화가 되지 않는다.
당뇨 환자 식단 어떻게?
당뇨 환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당뇨용 식단표도 중요성이 높아졌다. 당뇨환자의 식단에서 아침식사는 필수다. 아침을 먹지 않으면 저녁에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특히 2형 당뇨환자는 단백질을 먹어 혈당을 관리해야 한다. 또한 식단을 연구할 때 보리밥을 골라야 한다. 왜냐햐면 보리는 혈당이 덜 올라가기 때문이다. 또 식이섬유가 풍부한 것을 꾸준히 먹어줘야 한다. 식이섬유를 섭취하면 혈당이 갑자기 오르지 않게 한다. 당뇨 환자 전용 식단은 다양하게 넣는 것이 좋고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