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보험 및 연금저축보험 ...연금보험 알짜배기 팁은? 100세 시대 준비 필요해

조호용 / 2019-08-12 07:07:55
▲(출처=ⓒ픽사베이)

의학이 발달하면서 대한민국의 노인 비율이 증가했다. 하지만 명예퇴직 인구가 늘면서 '노후준비'가 중요한 숙제가 됐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은 불투명하다.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절반 이상의 국민이 노후에 대한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연금보험 계획 노하우를 담았다.


연금보험이란?

연금보험은 종신 혹은 기간을 정하고 해마다 일정 금액을 내는 상품이다. 넓은 의미로 봤을 때 △노령 △폐질 △사망 등으로 인해 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한편 좁게 보면 공무원연금을 뜻한다. 의료·산재·고용보험과 더불어 '4대보험'이라고 불린다. 도입시기는 1994년이다.

개인연금 가입 자격은 만 20세를 넘어야 한다. 더불어 저축을 10년 이상 해야한다. 연금은 만 55세 이후 △확정연금 △종신연금 등으로 받는다. 연금보험은 여러 가지가 있다. 퇴직일시금, 퇴직수당 등이 있다.


연금보험 vs 연금저축보험

연금상품은 두 개로 구분된다. 연금저축보험은 연말정산에서 유리하다. 매년 최대 66만원을 아낄 수 있다. 연금은 만 55세부터 받게 된다. 연금저축보험을 들면 좋은 사람은 연금저축 미가입자 및 직장인이다. 한편 연금보험은 연금수령에 좋다. 또 연금 수령은 만 45세부터다.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 가입자나 연말정산 미대상자에게 추천한다. 특히 주부나 학생같은 경우 연금보험 가입을 권장한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가입하는 인터넷 보험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연금보험 정하는 방법



연금보험 납입액은 사용자의 자유다. 단 최소 금액은 회사마다 다르다. 따라서 매월 납입할 금액은 자신의 형편에 맞춰 정해야 한다. 이후 예상 연금 수령액을 계산을 해보는 것이 좋다. 보험사 홈페이지에 가보면 나중에 받는 연금의 금액을 서비스를 사용 가능하다. 계산 할 수 있는

따라서 나중에 받는 연금을 계산하기 앞서 매월 납입할 보험금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 이후 몇년 동안 모아야 할지 생각하는 것이 좋다. 이후 연금 수령 시기를 결정한 이후 연금보험 상품을 골라야 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