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학이 발달하면서 노인 인구가 증가했다. 하지만 퇴직 시기가 빨라지면서 노후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등장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방법은 불투명하다. 설문조사를 해보니 절반 이상의 국민이 미래 대비 방법을 모른다고 말하기도 했다. '제 2의 인생'을 만들어주는 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을 비교했다.
연금보험 알아보자
연금보험은 종신 혹은 정해진 기간 동안 해마다 일정 금액을 내는 상품이다. 넓게 보면 보험사고가 원인이 돼 연금을 급여하는 사회보장을 의미한다. 한편 좁게 보면 공무원연금을 뜻한다. △의료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과 더불어 '4대보험'이기도 하다. 1994년부터 시행됐다.
개인연금 가입 대상자는 현재 국내 거주자여야 한다. 더불어 저축을 10년 이상 해야한다. 지불한 돈은 만 55세가 되고 나서 확정연금이나 종신연금으로 받는다. 연금보험은 여러 가지가 있다. 퇴직일시금, 퇴직수당 등이 있다.
연말정산 준비한다면 연금보험 어때
연금상품은 두 가지로 나뉜다. 연금저축보험은 연말정산 절세를 돕는다. 매년 최대 66만원을 절약할 수 있다. 연금은 만 55세부터 수령 가능하다. 연금저축보험을 들어야 하는 사람은 자영업자, 직장인 등이 있다. 한편 연금보험은 연금 수령 때 좋다. 또 연금 수령은 만 45세부터다.
연금보험은 연금저축보험 이용자나 연말정산 미대상자에게 좋다. 특히 주부·학생은 연금보험을 더 추천한다. 최근 인터넷으로 이용 가능한 인터넷 보험상품이 출시됐다.
연금보험 정하는 방법
연금보험 납입액은 사용자의 자유다. 단 최소 금액은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내월 납입할 돈은 자신의 형편에 맞춰 정해야 한다. 이후 예상 연금 수령 금액을 계산을 해보는 것이 좋다. 보험사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나중에 받는 연금의 액수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계산하는
따라서 연금보험 수령 금액을 계산하기 전 매월 낼 보험금을 생각하자. 이후 몇년 동안 납입힐지 생각해보자. 이후 연금 수령 시기를 결정하고 나서 연금보험을 선택해야 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