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군 농촌기본소득을 위해 "예산의 1.5% 만으로도 시행할 수 있다" 의견
[HBN뉴스 = 이수준 기자] 2026년도 임실군수 예비후보 초청 임실형 농촌기본소득 추진연대 2차 간담회가 임실군 시민·사회단체연합회(박재만 회장) 주관·주최로 지난 19일 오후 2시 임실하나로마트 3층 대회의실에서 김영미 사무처장의 진행으로 열렸다.
![]() |
| 임실군수 예비후보 초청 임실형 농촌기본소득 사업 추진연대 2차 간담회 (사진=이수준 기자) |
지난 7일 있었던 “임실형 기본소득 추진연대 간담회”에 이은 이번 2차 간담회는 2026년도 임실군수 예비후보들의 농촌기본소득 추진에 대한 의지와 그 대안을 듣는 자리로 김진명, 신대용, 이풍래, 한득수 임실군수 예비후보가 패널로 참여했다.
또한, 김정흠 군의원, 임실군 애향본부장 박길수, 씨알포럼 윤한종 회장, 기본사회위원회 전북공동대표 장근수등 지역주민 100여 명이 참여했다.
박재만 회장은 대회사를 통해 농촌기본소득 시범사업 탈락에 대한 위로와 격려의 필요성을 느끼며, 농촌 기본소득 정책 수립을 위한 대화와 소통 인구 소멸 극복 및 군민 행복 증진 방안 모색 등 군민 뜻에 맞춘 임실군수 예비후보들의 의견 개진과 공약 제시를 요청했다.
![]() |
| 임실군수 예비후보 초청 임실형 농촌기본소득 사업 추진연대 2차 간담회 (사진=이수준 기자) |
패널로 참여한 2026년 임실군수 예비후보들은 기본사회의 배경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성남시장 시절을 언급하며 당시 국토 불균형 해소를 위해 평등보다는 최소한의 삶의 권리 보장에 목적을 두고 국가가 나서서 삶의 권리를 보장하려는 취지였다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일자리 감소 및 AI 대체 현상은 농촌기본소득이 소멸 위기에 놓인 임실군의 대안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한, 농촌기본소득을 위해 필요한 재원 마련으로 군의원의 예산 감시로 군 예산의 목적성과 지역 경제 기여도를 조사해 건전한 재정 운영을 통한 임실군 예산의 1.5% (정부예산 50% 도비30% 군비20%)만으로도 시행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어,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에서 다른 시·군의 인구 증가 및 감소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인구 증가 요인으로 예산 활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주민 맞춤형 복지 혜택 정책은 농촌기본소득과 함께 시행돼야 할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날 있은 임실군수 예비후보 초청 임실형 농촌기본소득 사업 추진연대 2차 간담회는 1차 간담회와는 달리 지켜보는 객석에서도 질문하고 패널이 답할 만큼 충분한 시간을 배려 했다.
간담회를 지켜본 한 시민은 “1차 때와는 달리 패널들의 군민 민생을 살피는 깊이 있는 분석과 방향 제시는 임실군수를 선출하는 데 있어 옥석을 가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오늘 간담회는 농촌기본소득과 인구감소, 일자리 감소, 지역소멸 위기, 지역복지 등이 주된 화두로 임실군수 예비후보들의 공약과 열띤 토론은 1시간을 넘기며 끝을 맺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