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세율·범위 불확실성 속 고심 깊어져
[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품목관세를 다음 달(8월) 발표할 예정이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국내 반도체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 |
반도체 생산. [사진=연합뉴스]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이 무역협상 타결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반도체 관세를 "2주 후에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같은 날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인 8월 1일 이후 유예기간 추가 연장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러트닉 장관은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뒤 "8월 1일에 관세는 즉시 적용되며, 세관은 징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물론 8월 1일 이후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여전히 대화할 수 있다. 대통령은 분명히 주요 경제국들과 협상하고 대화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미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반도체 관련 조사 대상에는 반도체 기판과 웨이퍼, 범용 반도체, 최첨단 반도체,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반도체 제조장비 부품 등이 포함됐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반도체 수출액은 106억달러로 지난해 대미 반도체 수출 비중은 7.5%다. 중국(32.8%)이나 홍콩(18.4%), 대만(15.2%), 베트남(12.7%)보다 낮다.
구체적인 관세율과 부과 품목이 언급되진 않았지만 미 상무부가 조사 대상으로 삼은 품목이 모두 반도체 관세에 포함될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제조업체뿐 아니라 반도체를 부품으로 완제품(세트)을 생산하는 부품업계도 관세 영향권에 들어간다.
중장기적으로 완제품 생산업체들이 반도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생산시설을 갖춘 반도체 업체로 공급망을 바꿀 유인이 커지게 된다.
결국 구체적인 관세안에 따라 수조 원에서 수십조 원이 소요될 수 있는 반도체 생산시설을 미국에 신규로 투자해야 할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반도체 패키징 생산기지 건설을 준비 중이다. 다만, 양사 모두 메모리 생산시설은 미국에 없다.
트럼프 행정부의 품목관세 부과 대상이 된 자동차 업계의 경우 충격이 실적으로 가시화된 상태다. 미국은 한국 자동차에 지난 4월부터 25%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현대차는 2분기 매출이 7.3% 늘어난 48조2867억원, 영업이익의 경우15.8% 줄어든 3조6016억원으로 집계됐다. 기아는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9조3496억원, 2조764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6.5% 증가, 영업이익은 24.1% 감소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올해 2분기 합산 매출이 77조6363억원, 합산 영업이익은 6조3664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분기(매출 72조5885억원·영업이익은 7조9228억원)과 비교하면 매출은 7.0%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9.6%나 감소했다.
현대차는 실적발표에서 올해 하반기에는 2분기보다 관세 영향이 더 커질 것으로 예측한다고 전망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