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최선단 14나노 기반, 단일 패키지 용량 64GB 확대
[하비엔=윤대헌 기자] 업계 최초로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메모리 솔루션이 탄생했다.
14나노 공정을 적용한 LPDDR5X는 한층 향상된 속도와 용량, 절전 등이 강점으로, 최근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5G와 AI, 메타버스 등 미래 첨단 산업에 최적화된 메모리 솔루션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8년 세계 최초로 8Gb LPDDR5 D램을 개발한데 이어 이번에 업계 최초로 LPDDR5X 개발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 |
▲ 삼성전자에서 업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LPDDR5X’ 메모리 솔루션. [사진=삼성전자] |
LPDDR5X는 우선 동작 속도가 역대급이다. 현존하는 모바일 D램 가운데 가장 빠른 최대 8.5Gbps로, 이전 세대 제품인 LPDDR5의 동작속도(6.4Gbps)보다 1.3배나 빠르다.
또 업계 최선단 14나노 공정을 적용, 용량과 소비전력 효율 면에서도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이 삼성전자 측의 설명이다. 이는 선단 공정 적용을 통해 기존 LPDDR5 대비 소비전력 효율이 약 20% 개선된 것이다.
삼성전자는 LPDDR5X의 단일칩 용량을 16Gb로 개발하고, 모바일 D램 단일 패키지 용량을 최대 64GB까지 확대해 5G시대 고용량 D램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황상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DRAM설계팀 전무는 “최근 증강현실과 메타버스, AI 등 고속으로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첨단 산업이 확대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이번 LPDDR5X를 통해 모바일 시장뿐 아니라 서버, 오토모티브 시장까지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 수요를 창출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말부터 글로벌 IT 고객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고객의 차세대 기술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신규 라인업으로 빠르게 전환시켜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첨단 모바일 D램 라인업을 확대하고, 프리미엄 D램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양산 체제를 구축해 시장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