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전기차 충전부터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 기술이 보급되면 주차장이나 캠핑장 등지에서도 220V 콘센트만 있으면 전기차 충전과 요금 부과가 가능해 편리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 |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기술을 개발한 KERI 연구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전기연구원] |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이재조 박사팀이 개발한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기술이 국제 인증인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 2.0.1’ 인증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OCPP는 전기차 충전기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개발된 전기차 충전기 관리 운영 통신규약 개발 관련 국제협의체(OCA)의 산업표준이다. 이는 일종의 통신 규격으로, 충전 이용자를 위한 정보 안내와 사용자 인증, 충전 스테이션 상태 및 고장 관리 등에 적용된다. 이 때문에 현재 전 세계 50개 이상의 국가가 OCPP를 활용하고 있다.
이 박사팀은 전기차 충전용 과금형 콘센트 기술을 OCA에 제안해 지난해 3월 OCPP 1.6 인증을 받은 데 이어 최근 업그레이드 버전인 OCPP 2.0.1 인증까지 받는 데 성공했다. KERI가 OCPP 2.0.1 인증을 받은 ‘과금형 콘센트 기술’은 충전 이용자가 주차장 벽면에 설치된 220V 콘센트를 활용해 전기차를 충전하고 결제까지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특히 복수의 전기차를 동시에 충전할 경우 전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해 충전하는 스마트 전력 분배 충전과 요금 최적화 충전, 충전요금 결제까지 가능해 개인정보 보호 등 매우 높은 수준의 통신보안이 필수다.
이번 성과는 국내외 전기차 시장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아파트 주차장에 별도의 충전소를 만들어 주민들이 돌아가면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구조로 인해 큰 불편함이 따랐다.
하지만 KERI 기술을 활용해 주차장이나 야외 캠핑장 등지에 220V 기반의 간단한 과금형 콘센트만 여러 개 설치하면 종전의 불편함이 해결된다. 게다가 충전소 설치를 위한 복잡한 전기공사나 전용 주차면이 필요 없어 전기차 보급 확대의 큰 관건인 충전 인프라 확대가 가능해진다.
전기연구원은 향후 OCPP 2.0.1 인증을 기반으로, 전기차 충전을 넘어 통신 기반 편의 서비스까지 사용자가 누릴 수 있는 발판도 마련했다.
이재조 박사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단순 충전을 하는 시대를 지나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통신의 시대가 도래했다”며 “OCA와 과금형 콘센트 관련 백서 출간을 준비하는 등 우리나라가 전기차 충전 프로토콜의 국제 표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