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 따라 좌우 와이드한 단지, 설계에 따라 많은 세대 조방 가능
[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재건축을 추진중인 압구정2구역이 현재 설계안대로 진행하면 전체 2571세대 중 35%에 달하는 약 900세대의 한강조망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조합은 현재 14개동 개수를 고정해 평면과 커뮤니티특화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전해져 현재 동 배치를 고수한다면 한강조망 가치를 스스로 포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업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상황이다.
최근 조합 집행부는 "단 한 개동이라도 줄이면 서울시가 절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동수 감축을 할 수 없다는 강경 입장을 반복적으로 밝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는 서울시가 허용을 않을 것이며 스카이라인이 무너진다는 이유에서다.
![]() |
압구정2구역. [사진=독자] |
업계 일각에서는 압구정2구역의 경우 한강변을 따라 좌우로 와이드한 특성을 갖추고 있어 설계에 따라 더 많은 세대에 한강조망 확보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신반포2차(디에이치 르블랑)에서 전세대 한강조망 설계를 모 건설사가 제안한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의 경우 특히 중앙공원의 규모를 최적화, 동 개수와 위치를 합리적으로 조정한다면 훨씬 더 많은 한강조망이 가능하다"며"부정할 수 없는 한강조망의 가치는 단지 전체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현재 압구정2구역의 설계안을 검토해 보면 약 900세대가 한강조망이 어려울 수 있다. 한강조망 여부에 따른 세대 당 시세 차이를 최소 10억원으로 가정한다면 단지 전체 가치에서 9000억 원 정도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라고 주장했다.
![]() |
압구정2구역 재건축 투시도. [사진=독자] |
업계에 따르면 현재 설계안으로는 비조망 세대 배정 확률이 30평형대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이 경우 한강조망 프리미엄 유무를 두고 형평성 논란으로 인한 조직적 반발로 사업지연, 설계변경과 공사비 상승 등도 불가피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의 인허가 단계에서 한강조망을 포기하는 대안설계는 결국 다시 설계변경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