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LG유플러스는 포항공과대학교와 6G 이동통신 서비스 구현의 핵심인 주파수 커버리지 확장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 환경에서 실증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LG유플러스와 홍원빈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재구성 가능한 지능형 표면(RIS)은 6G 후보 주파수 대역인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주파수 커버리지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 |
| LG유플러스와 홍원빈 교수 연구팀,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임직원이 RIS 테스트를 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
이번 실증 성공에 앞서 LG유플러스와 홍원빈 교수팀은 지난해부터 산학협력 과제로 6G RIS 기술 연구에 착수, 주파수를 반사 투과 흡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 환경과 유사한 100㎓ 이상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전력 소모 없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6G 이동통신에서는 홀로그램, XR(확장현실) 등 특화서비스를 위해 수 백 메가헤르츠에서 수 십 기가헤르츠에 이르는 초광대역폭 주파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후보 주파수 대역이 논의되고 있고, 그동안 이동통신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테라헤르츠 대역 또한 후보 주파수로 주목받고 있다.
테라헤르츠 주파수는 가용 대역폭이 넓어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전송속도를 낼 수 있지만, 파장이 매우 짧아 전파가 도달하는 거리에 장애물이 있는 환경(NLoS)이나 실외 기지국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상황에서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같은 전파 손실은 결국 통신 품질의 저하로 이어져 테라헤르츠 기반의 차세대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이를 해결하는 것이 필수다.
이에 LG유플러스와 홍원빈 교수팀, 계측기 제조업체인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는 협업을 통해 테라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인위적인 방향으로 반사 흡수 투과할 수 있는 신개념 전파 표면을 개발했다.
새롭게 개발한 3종의 전파표면은 각각 주파수를 반사, 투과, 흡수한다. 우선 반사 타입은 전파의 경로를 다른 방향으로 형성해 일반적으로 전파가 도달할 수 없는 지역으로 전파를 전달, 전파 도달거리를 넓힐 수 있다.
또 투과 타입은 전파의 경로 가운데 유리를 투과할 때 발생하는 반사 손실을 감쇄해 전파가 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흡수 타입은 전자파의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 및 소실시켜 보안 시설 등에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LG유플러스는 RIS 외에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확장과 서비스 지역 확장, 네트워크 확장 3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선행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주파수 확장을 위한 연구 가운데 하나로 고주파 대역 주파수를 활용하기 위해 RIS 연구와 함께 주파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초거대 매시브 마이모 기술과 주파수 자원을 서로 공유해 주파수 활용도를 높이는 주파수 공유 기술 등을 연구 중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포항공과대학교와의 산학협력 연구를 통해 6G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며 “미래를 준비하는 핵심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통해 고객이 더욱 향상된 서비스 품질을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