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현대자동차가 최근 5년간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집단으로 조사됐다. 또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의 지난해 내부 거래금액은 196조원에 달했다. 이는 최근 5년 새 가장 큰 증가 폭으로, 1년 사이에 무려 40조원이 늘어난 것이다.
1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시대상기업집단의 ‘2022년 상품·용역 거래 현황 등’(이하 ‘내부거래 현황’)을 분석·발표한 바에 따르면, 82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지난해 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은 33.4%(752조5000억원)로 나타났다.
![]() |
현대자동차가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기업집단 가운데 최근 5년간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이 가운데 국내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은 12.2%(275조1000억원), 국외 계열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21.2%(477조3000억원)로 파악됐다.
특히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 집단(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한화, GS, HD현대, 신세계, CJ)의 국내 계열사간 내부거래 금액은 196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2021년(155조9000억원)과 비교해 1년 사이에 40조5000억원이 늘어난 것이다.
기업별로 보면 내부거래 비중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SK(4.6%p)였고, 최근 5년간 내부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집단은 현대자동차(2.6%p)였다. 또 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은 셀트리온(62.5%), 한국타이어(62.4%), 삼성(58.3%) 순으로 높았다.
총수일가 또는 총수2세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경향도 지속돼, 총수일가 지분율이 20% 이상인 계열회사의 국내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은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증가(8.6%→11.7%, 3.1%p)하는 등 전 구간에서 전년보다 증가했다.
또 특수관계인의 부당이익제공 행위 관련 규제대상 회사의 국내외 계열사 전체 내부거래 비중(금액)은 15.6%(53조원)이고, 이 가운데 국내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금액)은 10.8%(36조7000억원), 국외 계열사와의 내부거래 비중(금액)은 4.8%(16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계열사간 거래 가운데 90.8%는 수의계약을 통해 이뤄졌고, 비상장사(92.5%)가 상장사(88.9%)보다 수의계약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거래 현황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과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이 높았고, 내부거래 금액은 제조업과 건설업이 컸다.
공정위 관계자는 “계열사간 내부거래 비중과 금액이 크다는 것만으로 부당 내부거래의 소지가 높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총수일가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간 양(+)의 상관관계가 지속되고, 내부거래 관련 수의계약 비중이 큰 점 등을 고려할 때 부당 내부거래 발생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의 필요성은 상당하다고 판단된다”라고 말했다.
상표권 사용거래 현황의 경우 상표권 사용계약을 체결하고 대가를 지불하는 유상사용 집단·수취회사 수(59개 집단, 100개사)와 거래규모(1조7800억원)가 모두 전년(52개 집단, 88개사, 1조5200억원)보다 증가했다.
총수가 있는 집단의 상표권 유상사용 비율은 76.4%(55/72개 집단)로, 총수가 없는 집단의 유상사용 비율(4/10개 집단, 40%)보다 높았다. 특히 총수가 있는 집단 소속 수취회사(95개사) 가운데 53.7%(51개사)는 총수일가 지분율 20% 이상 회사다.
공정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대기업집단 계열사간 부당 내부거래 발생 여부를 면밀히 감시하고, 시장의 자율감시 기능 활성화를 위해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분석·제공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