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이길주 기자]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해 국내 이통3사가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 사업에 참여함에 따라 UAM 추진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UAM은 전기로 구동하는 수직이착륙기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 이동 서비스다. 도심에서 활주로 없이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다양한 육상 교통수단과 연계가 가능해 친환경 이동수단이다.
![]() |
▲SK텔레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가 관계자가 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에 참여하는 업무 협약 체결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선 SK텔레콤은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등이 참여하고 있는 ‘K-UAM 드림팀’ UAM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드림팀은 UAM 상용화에 앞서 UAM 운항의 핵심요소를 종합적으로 검증해 나갈 예정이다. 기체 및 운항 분야는 SKT, 버티포트(UAM 전용 이착륙장) 분야는 한국공항공사, 교통관리 분야는 한화시스템이 주도적으로 맡아 실증에 참여한다.
SKT는 이번 실증사업을 위해 전략적 파트너인 글로벌 UAM 기업 조비 에비에이션의 실제 UAM 기체로 안전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작년 국내 최초로 구축한 4G·5G 기반의 UAM 특화 상공망을 활용해 UAM 운항 고도인 300~600m 상공에서 통신 품질도 테스트한다.
KT도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가하기 위해 22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KT는 K-UAM GC에 현대자동차 및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실증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KT는 양사와 함께 2024년 상반기에 실증 비행을 수행할 예정이다. KT-현대자동차-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각 사가 보유한 개별 시스템의 안전성 검증은 물론 컨소시엄의 UAM 서비스 통합 운용 관점으로 실증사업을 수행한다.
KT-현대자동차-현대건설 컨소시엄은 UAM 통신환경은 물론 승객의 출발지 탑승, 이용, 목적지 도착 등 UAM 생태계 전 영역을 실증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교통 수단의 정보를 통합해 하나의 교통 수단처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인 MaaS 플랫폼 기반 육상 모빌리티 연계도 추진한다.
LG유플러스는 국토교통부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실증사업 K-UAM 그랜드챌린지의 성공적인 실증과 사업자 선정을 위한 협약을 22일 체결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5월 영역별 최고의 전문성을 갖춘 기업들과 컨소시엄 UAM 퓨처팀을 구성해 K-UAM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에 참여제안서를 제출했다. UAM 퓨처팀은 최종 선정된 7개 컨소시엄 중 하나로, 2024년 7월 29일부터 9월 6일까지 기체 안전성, 통합 운용성, 소음 측정 등 1단계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교통관리 분야로 참여한 LG유플러스는 UAM 사업의 필수 플랫폼인 통신 기반의 교통관리 플랫폼 ‘UATM(UAM Traffic Management)’을 개발하고 있다. 이는 비행계획서 분석 및 승인, 교통흐름관리, 충돌관리, 회랑이탈 모니터링 및 운항정보 공유 등 자동화된 교통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플랫폼이다.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 Lab장은 “영역별 최고의 전문성을 가진 기업들과 함께 정부 실증사업에 참여하게 됐다”라며 “지상뿐 아니라 상공에서도 높은 품질의 이동통신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UAM의 모든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통제하는 국내 최고의 UAM 교통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