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사업 및 헬스케어 등 신성장 동력 발굴도 집중
[하비엔=윤대헌 기자] 신세계그룹이 디지털 대전환을 통한 ‘신세계 유니버스’ 구축과 지속 성장을 위해 5년간 총 20조원을 투자한다.
신세계그룹은 26일 그룹의 미래 성장을 위해 오프라인 유통사업 확대와 온라인 비즈니스 확대, 자산개발 및 신규 사업을 4대 테마로 정하고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사진=신세계] |
우선 오프라인 사업 확대를 위해 11조를 투자한다. 신세계백화점은 신규 출점과 기존점 경쟁력 확대를 위해 3조9000억을 투자하고, 이마트는 트레이더스 출점과 기존점 리뉴얼 등에 1조가 투입될 예정이다. 또 신세계 프라퍼티도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스타필드 수원을 필두로 창원과 청라 등 신규 점포 출점을 위해 2조2000억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이베이와 W컨셉 인수를 단행했던 신세계그룹은 이를 기반으로 향후 온라인 사업에서의 주도권 확대를 위한 추가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물류센터 확대와 시스템 개발 등에 집중 투자하는 한편 신사업 개발과 생산 설비 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는 등 총 3조원이 투자된다.
자산개발을 주도할 예정인 신세계프라퍼티는 현재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화성 테마파크 사업과 복합 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4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그룹은 화성 테마파크 개발을 통해 약 70조원에 이르는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약 11만명의 직간접 고용 효과가 발생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외 헬스케어와 콘텐츠 사업 등 그룹의 지속 성장을 이끌 신규 사업 발굴에도 2조를 투자해 그룹 역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앞으로 5년은 신세계그룹이 성장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미래 성장을 위한 디딤돌을 놓기 위한 매우 중대한 시기다”라며 “새로운 경쟁 환경에서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달성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로 그룹의 핵심 역량을 강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