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보통 많은 사람이 가고싶어 하는 대기업보다 연봉이 적다. 이에따라 자신이 중소기업 재직 시 나만의 집을 위해 차곡차곡 통장에 금액을 쌓는다. 하지만 다양한 중소기업으로 출근하는 청년들이 관심을 줘야 할 것이 나만의 집을 갖는 가능성이 높아질 나만의 집을 갖는 가능성이 높아질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이다. 직장때문에 고향에서 타지로 떠난 젊은이라면 집 문제로 인한 돈문제가 만만치 않기 때문에 이런 중소기업청년전세자금에 대해 알게 되면 모두의 꿈인 집 장만을 성공 할 수 있다. 내 집 장만의 꿈을 이룰 청년 전세자금이라는 것은 1억 정도를 국가에서 금리 1.2% 전세금을 빌려주는 것을 칭한다. 그리고 중소기업에 재직중이면 널리 알려진 전세자금을 대출 받고자 하기엔 조건이 안될 경우가 있고 다른 대기업에 비해 연봉도 낮아 이런 대출의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다. 그러면 앞서 언급한 청년전세자금대출을 신청을 위해서 대출이 가능한 자격과 필요한 서류들, 금리, 이용기간, 한도 등은 어떻게 알아보는 걸까? 함께 알아보자.
내 집 마련의 꿈...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받고싶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을 받으려면 먼저 나이는 만 34세 이하여야 하고 3,500만원의 연소득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 여기에 맞는다면 신청 가능하다. 여기에 만약 군복무를 마친 남성이라면 만 39세 이하인 나이면 신청할 수 있다. 단, 맞벌이 부부는 오천만원 이하의 소득이어야 가능한데 홀로 살고 있어도, 맞벌이를 하고 있는 부부도 85㎡이하 임차 전용면적을 가진 주택이어야 한다. 또 개인으로 심사를 하는데 받을 수 있는 대출 한정이 정해지고 그것은 임차보증금 80%정도에서 최대 1억을 넘지 못한다.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에 필요한 서류들?
이 대출을 받으려면 필요한 서류가 있다. 필요한 서류를 먼저 준비해서 은행에 방문하면 이런 절차들이 쉽게 해결된다. 우선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이 회사에 요청할 수 있는 서류는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자등록증, 근로소득, 재직증명서와 주업코드 확인자료다. 그리고 자기가 직접 준비해야 될 서류는 주민등록본 및 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등이다. 마지막으로 있어야 할 서류로는 부동산에 요청할 것으로 등기부 등본 및 건축물대장, 임대차계약서 원본, 계약금 영수증이다. 또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은 중소기업일 경우에만 가능하니 이 많은 서류를 준비하기 전에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자기 회사가 중소기업이 맞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서류가 다 됐다면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절차 알아보자
이러한 서류가 모두 준비 완료됐다면 은행 보통의 대출 받을 수 있는지 한도는 얼마인지 확인을 한다. 이후 집을 구하면 되는데 집이 마음에 들면 5%의 계약금을 내고 계약서에 써진 계약 내용은 임대인이 임차인의 전세자금대출에 협조한다는 것과 대출 실패의 경우 계약금을 조건 없이 반환하겠다는 내용을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 이후 임대차 계약서에확정일자을 정하고 은행의 심사를 기다린다. 그리고 이 대출 심사는 주로 2주 정도다. 또한 대출 가능 기간은 2년으로 연장은 최대 4회까지 가능해 10년까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