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취준을 하고 있거나 재직자가 됐어도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나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 싶을 때가 있다. 이로 인해 실무를 배우기 위해 학원을 다니게 된다. 하지만 학원을 다닐 경우 돈을 따로 내면서 다녀야 한다. 이에 최근 나라가 모든 것을 지원하는 국비 지원이 유행하고 있다. 내일배움카드는 그 중에서도 재직자도 온라인 강의를 들을 수 있어 더 주목을 받을 것이다. 내일배움카드를 이용해서 학습 가능한 과목을 알아보자.
한국어교원과 국어교사 차이점
한국어교원 뜻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해서 한국어를 가르쳐주는 선생님이다. 한국어교원 직종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장소에 따라 한국어강사와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육지도사 등으로 나뉜다. 하지만 한국어교원이 되고 싶다면 다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임용고시를 보지 않아도 되고 학교의 국어교사와는 다르다. 한국어교원은 대학교에 있는 어학원과 평생교육원과 같은 기관에서 한국어 공부를 도와주고 해외에 위치한 한국어교육기관과 외국에 있는 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기도 한다.
사회복지사 취득하면 좋은 점
사회복지사는 여러 가지 기관에서 일할 수 있다. 청소년시설과 같은 특수 시설에서 일할 수 있으며 특수 시설이 아니더라도 병원에서 취업할 수 있다. 보통 20대에서 30대는 9급공무원과 상담시설 쪽으로 일을 하게 되고 4050같은 경우 여성이나 가정 시설과 같은 복지관련시설로 취업을 한다. 사회복지사가 되는 나이대는 폭넓어서 최근 30대에서 50대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공부하고 있다.
직업상담사자격증
직업상담사는 '100세 시대'가 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옛날에는 오래 다니는 직장이 중요했으나 '평생직업'을 원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취업 문제가 가장 큰 문제로 변화해서다. 따라서 직업상담사의 위치가 중요하게 변했다. 직업상담사는 구인구직과 취업상담 등의 다양한 상담을 해주며 적성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또 직업, 노동 시장과 연관있는 정보를 수집해서 분석한 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직업상담사가 된다면 여성인력개발센터와 취업컨설턴트, 취업지원센터에 갈 수 있다.
관광통역안내사 여행할때만 필요할까
관광통역안내사는 한국에 놀러온 관광객들에게 출국할때까지 외국어를 사용해 역사를 알려주고 문화를 알려준다. 입국했을때부터 출국할 때 까지 외국어를 써서 문화를 소개해야 하고 관광객들의 관광 일정에 대한 최대한의 도움을 줘야 한다. 관광할 때가 아니더라도 가끔 산업의 목적으로 통역을 하게 되는데 산업시찰단, 해외 바이어에게 외국어를 홍보를 하면서 산업 발전을 돕는 것이다. 관광통역안내사가 될 경우 동시통역사를 비롯해서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