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안동헤리티지영화제, 시민이 만드는 '영화적 유산' 성료

이동훈 기자 / 2025-11-19 08:52:01
개막작 미디어 아트부터 시민 큐레이션, 초청작 GV까지 열기

[HBN뉴스 = 이동훈 기자] 안동시민이 주체가 되어 만들어가는 제1회 안동헤리티지영화제(집행위원장 김찬년)가 13일부터 16일까지 4일간 안동시 일원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한국수자원공사와 안동커뮤니티영상위원회가 주최한 이번 영화제는 13일 오후 7시 카페 오즈베 개막식을 시작으로 송강미술관과 안동중앙아트시네마 등 세 개의 공간에서 진행됐다. 


개막식에서는 홍나겸 작가의 미디어 아트 <솔라스텔지아>가 상영됐다. 강원도의 변화하는 자연과 환경을 영상 서사로 담아낸 이 작품을 통해 안동이 가진 영상과 미디어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개막식 장소인 카페 오즈베는 1895년 뤼미에르 형제가 프랑스 파리 카페에서 세계 최초로 영화를 상영했던 것처럼, '영화의 시작이 일상에서 비롯된다'는 의미를 담았다.

14일에는 송강미술관에서 시민 프로그래머 섹션 '스테이지 A'가 열렸다. 이재각 시민 프로그래머가 선정한 옴니버스 다큐멘터리 <새, 사람, 행진>이 오후 1시에 상영됐으며, 상영 후 토크와 '새 판화 찍기 체험'이 진행됐다. 오후 4시에는 임정혁 시민 프로그래머가 큐레이션한 조반니 트로일로 감독의 <프리다, 삶이여 영원하라>가 상영됐고, '예술과 삶의 경계'를 주제로 한 미술 토크가 이어졌다.

15일과 16일 양일간은 안동중앙아트시네마에서 다양한 초청작이 상영됐다. 15일에는 박보람 감독의 <양밥>, 이진화 감독의 <그 여자의 사주팔자> 등 단편 섹션과 김형진 감독의 AI 영상 복원전 <웃으면 복이 와요>가 상영됐으며, 저녁에는 '이비자 파티'가 열려 축제의 열기를 더했다. 16일에는 조은성 감독의 <아주 오래된 미래 도시>, 여장천 감독의 <송석주를 찾습니다>, 노언식 감독의 <네일플라워> 등이 상영됐다.

폐막작은 영화 <귀향>의 조정래 감독이 연출한 <초혼, 다시 부르는 노래>로, 상영 후 조정래 감독과의 대화를 끝으로 영화제의 막을 내렸다.

영화제의 슬로건 '정화: 기억, 시간, 그리고 우리'는 과거의 기억이 현재를 비추는 등불이 되고, 시간은 우리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며, 영화를 통해 마음을 정화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영화제를 총괄 기획한 김찬년 집행위원장은 (주)씨앤비즈와 씨임팩트 대표이사로, 영화 <미싱>(2021), <예비군: 뜻밖의 여정>(2017) 등을 연출하며 콘텐츠 기획·제작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해온 영화감독이자 문화기획자다. 그는 "이번 영화제는 현대의 시대정신을 안동시민이 주체가 되어 '영화적 유산'으로 남기는 첫걸음"이라며 "헤리티지는 우리 자신 그리고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로 확장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영화제는 물문화권 주민 공동체를 기억하고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 영화제로서의 첫 발걸음을 성공적으로 내딛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