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원전 수주·SMR 성장성…하반기 실적 반등 기대
"공급망 신뢰 회복은 과제"…내부 혁신도 여전히 필요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과거 분식회계와 원전 부실용접 논란이라는 중대한 악재를 딛고, 다시 공공사업과 원전 분야에서 본격적인 ‘쌍끌이’ 행보에 나서고 있다. 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 변화와 입찰 자격 회복이 맞물리며, 산업 전면 복귀에 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조5690억원, 영업이익 2711억원, 당기순이익 1978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2.5%, 10.4%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으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8.1%, 63.3%로 크게 하락했다.
![]() |
두산에너빌리티의 10MW 해상풍력발전기. [사진=두산에너빌리티] |
수익성 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구조적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시선도 여전히 남은 상황.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수년간 재무 신뢰성과 기술 안정성에 대한 이슈로 산업계 안팎의 우려를 받아왔다.
2020년 발생한 한빛원전 5호기 원자로 헤드 관통관 부실 용접 사건은 핵심 원전 기자재에 대한 품질 논란을 불러왔고, 이에 따라 2024년 3월부터 6개월간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공공사업 입찰 자격 제한 처분을 받기도 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두산에너빌리티는 과거 회계처리 논란으로 인해 시장의 신뢰도에 영향을 받은 시기도 있었다.
금융감독원은 2021년 두산에너빌리티가 인도 자회사 DPSI의 대형 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손실을 누락해 실적을 부풀렸다는 의혹으로 회계감리에 착수했으며,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이를 ‘중과실’로 판단해 2024년 16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잠정 결정했다.
하지만 최근 법원의 잇단 판결과 집행정지 인용으로 입찰 제한 조치가 사실상 해제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동시에 현 정부가 탈원전 정책에서 한발 물러선 ‘에너지 믹스’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원전 분야 전반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상반기 8조3000억 원 규모 수주 성과에 이어 하반기에도 체코 원전 등 대규모 프로젝트가 예정돼 실적 반등이 기대된다.
여기에 공공사업 입찰 제한 해제와 원전 정책 전환이라는 이중 모멘텀은 이 회사가 과거 리스크를 딛고 다시금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원전·가스터빈 등 고수익 부문 확대와 중동·베트남 EPC 및 체코 원전 수주에 더해, SMR과 국내외 가스터빈 수주 확대 가능성까지 확보하면서 연간 수주 목표 초과 달성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장윤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상반기 재고조정이 하반기 관세 불확실성에 대비한 전략인 만큼 시장 수요가 감소해도 하반기 매출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업계에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향후 정부 주도의 대형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로 이어질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다만 원전업계 한 관계자는 “공급망과 품질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재확립하는 과정이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분석도 있다”며 단순한 입찰 복귀 이상의 내부 혁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