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 고려해 추가 상황에 따라 금리 더 인하 필요 지적도
[하비엔뉴스 = 이필선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0일 하반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유지했다.
![]() |
10일 금융통화위원회 주재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
금통위의 동결 결정은 5월에 이어 연속으로 금리를 낮추면 치솟는 가계대출·주택가격을 자극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금통위는 작년 10월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고 11월엔 시장의 예상을 깨고 금융위기 이후 처음 연속 인하를 단행했고 지난 5월에도 인하했다.
부동산·가계대출 등 금융시장 상황은 매우 불안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6월 넷째 주(2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43% 뛰어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주택매매 수요를 뒷받침하는 가계대출도 지난달 은행권에서 6조2000억원 급증한 것을 비롯해 금융권 전체에서 6조5000억원 급증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지난달 27일 서울 등 수도권에서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의 고강도 규제를 서둘러 내놨다.
역대 최대(2.0%p)로 벌어진 미국(연 4.25∼4.50%)과 금리차, 추경 등 재정정책의 경기 부양 효과 등도 금리 동결의 이유가 됐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내수 회복세가 미약하고 미국 관세 충격도 더 뚜렷해질 것으로 우려돼 집값과 가계대출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 경기 부양을 위해 한은이 다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