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통상, 자발적 상장폐지 재추진...오너일가 지분 100% 목표 공개매수

홍세기 기자 / 2025-06-10 13:22:48
비상장사 통해 한 달간 공개매수 공시 속살
사측, 지배구조 안정과 경영 효율성 강화

[하비엔뉴스 = 홍세기 기자] 패션 브랜드 ‘탑텐’과 ‘지오지아’를 보유한 코스피 상장사 신성통상이 자발적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를 재추진하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신성통상의 1·2대 주주인 비상장사 가나안과 에이션패션은 지난 9일부터 7월 9일까지 한 달간 신성통상 주식 2317만8102주(지분율 16.13%)를 주당 4100원에 공개매수한다고 공시했다. 

 

 신성통상 홈페이지 캡쳐

 

이는 지난해 6월 상장폐지 추진 당시 공개매수가인 주당 2300원보다 약 78.3% 높은 수준이다.


공개매수 소식에 신성통상 주가는 이날 장 시작부터 급등, 가격제한폭(29.97%)인 3925원에 마감하며 1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신성통상의 오너일가(가나안·에이션패션·염태순 회장 등)는 현재 83.8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공개매수에서 목표 지분을 모두 확보할 경우 오너일가의 지분이 100%가 돼 상장폐지 요건인 95%를 넘어서게 된다.

◆ 오너일가 이익극대화 논란과 주주환원 미흡


신성통상의 자발적 상장폐지 추진은 오너일가가 회사의 이익을 독점하려는 시도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국회와 업계 일각에서는 신성통상이 상장 폐지를 통해 비상장 가족회사로 전환되면, 오너일가가 보유한 비상장회사(가나안 등)처럼 고배당 정책을 펼칠 경우, 신성통상이 축적한 3100억원 이상의 이익잉여금이 오너일가의 주머니로 고스란히 들어갈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성통상은 2011년과 2012년 두 차례 5억원을 배당한 뒤, 2023년에 주당 50원(총 72억원)을 배당했으나, 소액주주 몫은 16억5000만원에 불과했다. 반면, 오너일가가 지분 100%를 보유한 비상장 가족회사는 최근 3년간 평균 28%의 고배당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상장폐지 후 신성통상의 이익잉여금이 고배당으로 오너일가에 집중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자녀 편법 증여 의혹도 제기


신성통상의 상장폐지 논란과 함께 염태순 회장의 자녀에 대한 편법 증여 의혹도 불거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오기형 의원에 따르면, 염 회장은 2021년 6월 7일 세 딸(혜영·혜근·혜민씨)에게 신성통상 지분을 각각 4%(574만여주)씩 증여했다. 증여 당시 주가는 2645원으로, 1인당 약 152억원에 해당한다.

그런데 증여 3개월 후인 2021년 9월 13일, 신성통상은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경’ 공시를 통해 당기순이익이 226억원으로 약 7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공시 다음 날인 9월 14일, 최대주주 가나안은 세 자매로부터 신성통상 주식 100만주씩을 주당 4920원에 장외 매수했다. 이는 증여 당시 주가의 2배가 넘는 가격으로, 세 자매는 각각 22억원의 차익을 실현한 셈이다. 이에 대해 국회와 업계에서는 내부거래와 편법 증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 상장폐지 후 가업 승계와 경영 효율성 강화 목적
 

신성통상 측은 자발적 상장폐지 추진 배경으로 ‘회사의 지배구조 안정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꼽고 있다. 실제로 신성통상 오너일가는 2002년 대우그룹 해체 이후 회사를 인수했으며, 최근에는 외아들 중심의 가업 승계 구도를 확립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상법 개정안 시행 전 상장폐지 절차를 밟아 가업 승계를 마무리하려는 의도로도 풀이하고 있다. 신성통상은 상장폐지 후 비상장회사로 전환되면, 주주 감시와 공시 의무에서 벗어나 오너일가의 경영권 행사가 자유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개매수는 지난해보다 매수가를 대폭 올렸으나, 여전히 일부 소액주주와 투자자들은 신성통상의 실질 가치에 비해 충분한 프리미엄이 제공되지 않았다는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공개매수 가격이 시장가보다 높아 주가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성통상이 공개매수를 통해 목표 지분을 확보할 경우, 별다른 어려움 없이 상장폐지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