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 "과감한 구조개편 유일 돌파구"
[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장기 불황인 석유화학업계의 설비 감축과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 구조개편 방향이 제시됐다. 정부는 20일 공급과잉 해소 차원에서 최대 370만톤 규모 나프타분해시설(NCC) 감축 등 자구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 추진 방향'의 골자는 270만∼370만톤 규모 NCC 감축이다. 전체 생산능력 1470만톤의 18∼25%에 해당하는 양이다.
정부는 기업에서 재편 안을 마련하면 맞춤형 지원을 하는 '선 자구노력, 후 정부 지원' 방침과 함께 '연말까지' 시한을 제시한 상태다.
![]() |
여수산업단지. [사진=여수시]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석유화학산업을 주제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를 열었다. 구 장관은 "석유화학 업계가 뼈를 깎는 각오로 사업재편에 나서준다면 정부도 최선을 다해 뒷받침하겠다"며"민관이 합심해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석유화학 산업이 미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과감하고 신속한 구조 개편만이 유일한 돌파구"라며 "지금이 아니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사업재편에 적극 나서달라"고 참석 기업들에 당부했다.
정부는 업계의 사업재편계획을 검토해 금융, 세제, 연구개발(R&D), 규제 완화 등 지원 패키지를 마련하기로 했다.
기업별로 규모나 상황은 다르나 시설 감축이 업계 공통의 과제가 된 만큼 기업 간 협상이나 논의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는 이번 협약에서 정부가 감축 목표량과 협상 시한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함 만큼 업체 간 구조조정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자율적으로 진행되던 사업 재편 논의는 각사마다 이해 관계와 입장이 달라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내 주요 석화업체들의 대형 NCC는 주로 100만~130만톤 규모인 만큼 이번 목표량은 약 3개 NCC를 줄이는 수준이라는 분석이 대두된다. 여수·대산·울산 등 3개 대형 산단에서 대기업 NCC를 1개씩 줄이는 등 대략적으로 감축 목표를 생각해볼 수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조심스럽게 전한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