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홍세기 기자] KT의 대규모 구조조정에 직원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일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다. KT는 최근 AICT 기업으로 사업구조 전환을 목표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4500여명이 회사를 떠났고, 이에 반대해 버티던 2500여명은 토탈영업TF라는 조직에 강제로 배치된 상황이다.
그동안 자신이 해온 일과는 동떨어진 조직으로 배치된 KT 직원들은 과도한 스트레스 등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 |
KT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와 방송통신협의회, KT새노조, KT전국민주동지회가 22일 KT의 구조조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이번 일이 구조조정을 거부한 뒤 ‘토탈영업TF’로 발령받고,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노조는 이번 사건을 “강압적 구조조정이 초래한 산업재해다”라며 “구조조정이 직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육체적 부담을 주고 있다”고 경영진들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새노조는 이번 사망 사고는 회사가 추진한 구조조정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당사자가 겪었을 가능성이 높은 과도한 스트레스 및 노동환경의 변화가 원인이 됐을 수 있다는 점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사망이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강압과 인사상 불이익 등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이었는지를 노사가 공동으로 면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토탈영업TF로 배치된 직원 2500명 전원에 대한 정신적·육체적 건강 상태를 조사하고, 이번 사고와 구조조정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밝힐 것을 촉구했다.
새노조는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경위 조사와 유가족 위로 및 보상, 토탈영업TF의 차별적 인사 조치 철회와 전 직원의 정신적·육체적 건강 상태 조사, 그리고 김영섭 사장을 포함한 경영진의 공식 사과와 구조조정 관련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KT 새노조 김미영 위원장은 “KT의 역사는 구조조정의 역사였으며, 강압적인 구조조정 과정에서 ‘죽음의 KT’라는 오명을 썼다”며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 없다. 누구 하나 잘못됐다고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고 비판했다.
또 이번 사건이 중대재해처벌법에 해당되는 사건인지 면밀히 검토하고 고발 조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KT는 최근 AICT 기업으로 사업구조를 전환하겠다는 비전 아래 지난해 4500명 규모의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등 AI 중심으로의 조직 개편을 이어가고 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