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비엔뉴스 = 한주연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은 25일 성명을 내고 "최저임금위원회 사용자위원들이 지난 19일 제6차 전원회의에서 내년 최저임금 최초 안으로 동결을 제시했는데, 이는 결정 기준과 기업 지불 능력 등을 종합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 |
한국경영자총협회.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
앞서 경영계는 내년 최저임금을 1만30원으로 동결하자고 제안했고 노동계는 14.7% 오른 1만1500원 등을 최초 요구안으로 발표했다.
경총은 법에 예시된 결정 기준인 유사 근로자 임금, 노동생산성, 생계비, 소득분배 등을 일일이 열거하며 동결 필요성을 주장했다.
경총은 한국의 중위임금 대비 최저임금 수준은 63.4%로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적정수준(45∼60%)을 넘어섰다고 분석했다. 국제 비교를 기준으로는 한국이 60.0%, 주요 7개국(G7)은 50.1%로 추산됐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에선 최저임금이 중위임금의 85.6%를 기록하는 등 일부 업종에서는 현재 최저임금 수준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법정 최저임금액을 받지 못하는 근로자 비율인 '최저임금 미만율'은 2001년 4.3%에서 지난해 12.5%로 상승했다. 숙박·음식점업의 미만율은 33.9%다.
경총은 한국의 시간당 노동생산성이 지난 10년간 12.7% 오르는 동안 최저임금은 5210원에서 9860원으로 89.3% 오른 점도 지적했다.
시간당 노동생산성의 절대적 수준도 54.6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70.6달러)의 77.4%, G7 평균(80.6달러)의 67.8%에 그쳤다.
경총은 최저임금 인상이 소득분배 개선에서도 뚜렷한 효과를 내지 못한다는 설명이다. 최저임금이 2017년 6470원에서 2019년 8350원으로 29.1% 오르는 동안 상대적 빈곤율은 19.7%에서 20.8%로 올랐고 소득 5분위 배율은 11.3배에서 11.6배로 확대됐다.
경총은 경영여건 악화와 관련해선 "소상공인 월평균 영업이익은 올해 1∼4월 평균 208만8000원이고 중소기업의 60.5%는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