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담지설(誌說)] “분노는 불의 불씨, 자비는 빛의 불씨입니다” [기고]

편집국 / 2025-05-25 06:17:50
"작고 사소한 불씨가 점점 내 마음을 태워"
"세상을 바꾸는 첫걸음은 언제나 ‘내 마음을 다스리는 것’"

사랑하는 불자 여러분,

 

부처님오신날이 지나고 일상으로 돌아온 우리의 삶은 또다시 번뇌와 마주합니다. 절집의 등불은 꺼졌지만, 우리 마음속의 등불은 여전히 밝혀져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가장 먼저 이 등불을 꺼뜨리는 바람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분노’라는 이름의 뜨거운 돌풍입니다.

 △사진=대한불교 성불조계종회 법담 종정스님

 

『법구경(法句經)』 제1품 쌍요품(雙要品)에는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세상에 미움을 미움으로 없앨 수 없다. 오직 사랑과 자비로써 미움은 없앨 수 있다. 이것은 영원한 진리이다.”

 

분노는 분노를 낳고, 그 분노는 또 다른 분노를 불러 이 세상을 상처투성이로 만듭니다. 그러나 자비는 분노의 불씨를 끄고, 상처받은 마음을 어루만지며, 미움의 사슬을 끊는 단 하나의 길이 됩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언제나 분노에 노출돼 있습니다.

교통체증, 말 한마디, 가족 간의 갈등, 직장에서의 불합리함... 작고 사소한 불씨가 점점 내 마음을 태워 갑니다. 분노는 타인을 상하게 하기 전에 먼저 나를 태우는 불길입니다. 

 

『잡아함경』에 이르기를, “성냄은 칼보다 날카롭고, 불보다 뜨겁고, 독보다 치명적이니라.”

 

그렇다면 우리는 이 분노를 어떻게 다스릴 수 있을까요?

 

첫째, 멈추는 수행이 필요합니다.

숨을 깊게 들이쉬고, “나는 지금 분노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해 보십시오. 그 한순간의 멈춤이, 무너질 뻔한 마음을 되살리는 출발이 됩니다.

 

둘째, 이해하려는 마음입니다.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에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렇게 전합니다.

“진정한 자비는 남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여기는 데 있다.”

상대의 고통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순간, 우리는 비로소 분노가 아닌 연민을 품을 수 있습니다. 분노의 칼을 내려놓고, 자비의 손을 내미는 이 한 걸음이 진정한 불자의 걸음입니다.

 

셋째, 자신을 돌아보는 참회입니다.

분노는 때로 내가 가진 ‘집착’에서 비롯됩니다. 내 방식대로 되어야 한다는 욕망, 내 말이 옳아야 한다는 고집, 내 감정이 우선이어야 한다는 교만… 이 모든 것이 분노의 뿌리입니다. 

 

부처님께서도 『법구경』에서 “집착이 있는 한 괴로움은 그치지 않는다.”고 설 하셨습니다.

 

불자 여러분,

세상을 바꾸는 첫걸음은 언제나 ‘내 마음을 다스리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오늘 하루, 분노에 끌리는 마음을 멈추고, 자비의 말 한마디를 실천해 보십시오.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순간은, 누군가의 따뜻한 이해입니다.

그 말이 상처를 덮고, 어둠을 걷으며, 다시 웃음을 피워냅니다.

 

불자가 된다는 것은 곧 세상 앞에 자비로운 존재로 살아가겠다는 서원입니다.

그 서원을 실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분노를 참아내고, 자비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이 하루, 그대의 말 한마디, 표정 하나, 침묵 속 기도 하나가 세상을 살리는 등불이 될 수 있습니다.

 

합장.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