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분야서 첫 'F' 나와
[하비엔뉴스 = 박정수 기자] 제주항공이 국토교통부의 항공사 평가에서 안전성 분야 최저점을 받았다. 운항 신뢰성 분야에서는 아시아나항공 계열 저비용항공사(LCC)인 에어서울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 |
국적사 안전성 평가 결과. [표=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는 10개 국적 항공사와 국내에 취항하는 43개 외국 항공사 등 53개 국내외 항공사와 국내 6개 공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를 29일 밝혔다.
항공사 평가는 ▲안전성 ▲정시성을 포함한 국내선·국제선 각 부문 운항 신뢰성 ▲ 이용자 보호 충실성 ▲ 이용자 만족도를 기준으로 이뤄졌다.
국적사만 평가한 안전성 부문에서는 지난해 12월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179명의 인명 사고가 발생한 제주항공이 평가 기준상 최저 등급인 F(매우 불량)를 받았다. 안전성 분야에서 F 등급을 받은 것은 첫 사례로 파악됐다.
항공안전법 위반 등으로 다수의 과징금 처분이 내려진 티웨이항공도 E+(불량)을 받았고, 정비 요인으로 회항이 발생한 에어프레미아(C), 이스타항공(B+) 등도 평가가 좋지 않았다.
인천공항 출발 단거리 노선이 많은 LCC가 앞선 항공편의 지연으로 출발·도착이 밀리는 항공기 연결 문제로 정시성이 하락하면서 등급이 낮게 나타났다. 에어서울이 D++로 최저점을 받았고, 이스타항공(C+), 진에어(C++) 등도 미흡한 성적을 냈다.
국제선 운항 신뢰성에선 에어부산(A+)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공항 출발 단거리 노선이 많은 LCC가 앞선 항공편의 지연으로 출발·도착이 밀리는 항공기 연결 문제로 정시성이 하락하면서 등급이 낮게 나타났다. 에어서울이 D++로 최저점을 받았고, 이스타항공(C+), 진에어(C++) 등도 낮은 평가를 받았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