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불감증' SKT, 그룹 전체 위기 자초?...용인 반도체 사업마저 '불똥'

이동훈 기자 / 2025-05-12 11:31:48
대규모 USIM 정보 유출, 위약금 논란에 '뭇매'
SK하이닉스 숙원 용인공장, SKT로 여론악화

[하비엔뉴스 = 이동훈 기자] 최근 발생한 SK텔레콤의 대규모 해킹 사태가 SK그룹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SK하이닉스가 추진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선도하는 SK하이닉스는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에 첨단 반도체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웨스트라피엣 시의회는 SK하이닉스가 제시한 부지를 7시간의 심도 깊은 논의 끝에 흔쾌히 승인하며 직간접적인 고용 창출 효과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반면, SK하이닉스가 122조 원 투자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2019년 투자 발표 이후 6년이 지나서야 첫 삽을 뜰 정도로 험난한 과정을 겪었다. 부지 선정 과정에서의 주민 보상 협상 난항, 공업용수 확보를 둘러싼 여주시와의 갈등, 하수 방류 문제로 인한 안성시와의 마찰 등 끊임없는 반대에 직면했다. 

 

 장관은 무슨 죄? SKT해킹사태 및 위약금 논란으로 청문회에 소환된 유상임 과기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최근에는 클러스터 내 LNG 열병합발전소 건설 계획이 안성시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히면서 사업 추진에 또다시 제동이 걸린 상황이다. 안성시는 발전소가 안성시와 인접해 환경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발생한 SKT 대규모 해킹 사태는 SK하이닉스에 대한 동정 여론을 냉각시키면서, 지역 사회와의 소통 부재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낳고 있다.

SKT는 지난 4월 22일, 해커의 공격으로 인해 2500만명 상당수의 가입자 유심(USIM) 정보가 탈취당하는 심각한 보안 사고를 겪었다.

◆ SKT 해킹 사태, 거센 비난 여론… “보안 불감증” vs “과도한 책임론”

SKT는 막대한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함께 허술한 보안 시스템 및 사후 대처에 대한 질타가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정확한 피해 규모와 유출된 정보의 종류는 아직 조사 중이지만, 이미 상당수의 사용자들이 불안감을 호소하며 SKT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고 있다.

가장 큰 비판의 핵심은 SKT의 ‘보안 불감증’이다. 대한민국 대표 통신사로서 막대한 양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공격에 취약한 시스템을 운영했다는 점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과거에도 크고 작은 개인 정보 유출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하며, “SKT는 보안에 대한 경각심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날 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사후 대처 역시 도마 위에 올랐다. 사건 발생 후 SKT가 보여준 초기 대응 방식이 미흡했다는 평가다. 정보 유출 규모와 피해 상황에 대한 명확한 설명 없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복구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했다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사태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불만을 야기했다.

SKT의 해킹 사태로 인해 이용자들이 타 통신사로 번호 이동을 원할 경우, 기존 약정에 따른 위약금을 면제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도 뜨겁다.

유영상 SKT 사장은 국회 청문회에서 위약금을 면제할 경우 약 500만 명의 가입자가 이탈하여 3년간 최대 7조 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SKT 측은 위약금 면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이며, 즉각적인 결정은 어렵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해킹은 SKT의 귀책 사유이므로, 피해자인 이용자들이 번호 이동 시 위약금을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들도 SKT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하며 위약금 면제를 촉구하고 있다. 일부 의원은 SKT의 주장을 ‘국민 협박’으로 규정하기도 했다. 소비자 단체를 중심으로 위약금 면제 요구가 거세지고 있으며, 집단 소송 및 분쟁 조정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일부에서는 SKT에 대한 ‘과도한 책임론’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고도화되는 해킹 기술 앞에서 완벽한 보안 시스템 구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며, SKT가 감당해야 할 책임의 범위를 신중하게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대다수의 여론은 SKT가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 네티즌, SKT를 보자니 “참 기업하기 좋은 나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SK그룹 전체에 대한 싸늘한 시선마저 일어나고 있다. 일부 네티즌들은 “SKT 하는 꼬라지 보면 기업하기 좋은 나라 같은데?”, “손실은 고객의 정보가 통으로 털린 게 손실이고!”, “참 기업하기 좋은 나란데?”라며 SKT의 안일한 대응을 꼬집었다.

한편 위약금 면제와 관련한 하비엔뉴스의 질의에 SKT는 정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6월로 예정된 정부 조사 결과 이후 결정하겠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SKT 대규모 해킹사태는 회사(SKT)는 물론 그룹 전체의 신뢰도 뿐만 아니라 국민적 지지가 필요한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논했다.

    [ⓒ HBN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